24일(현지시각) 다우지수는 전장 대비 171.50포인트(0.37%) 내린 4만6121.28, S&P500지수는 18.95포인트(0.28%) 하락한 6637.97, 나스닥지수는 75.62포인트(0.33%) 떨어진 2만2497.86에 각각 마감했다.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의 '증시 고평가' 발언 여파가 지속되면서 조정 압력이 커지고 있다. 파월 의장이 전날 "상당히 고평가된 것 같다"고 언급한 것이 매도 요인으로 작용했다.
S&P500지수는 이틀간 0.8%, 나스닥지수는 1% 이상 하락했다.
AI 산업에 대한 거품 우려도 지속되고 있다. 엔비디아와 오픈AI가 체결한 1,000억달러 규모 공급 계약이 실상 '순환출자' 구조라는 지적이 제기되면서 위험 회피 심리가 강화됐다.
이 거래는 엔비디아가 오픈AI에 자금을 지원하고 오픈AI가 수익을 내면 그 돈으로 엔비디아 칩을 구입하는 구조다. 과거 닷컴버블 시기 통신장비 업체들이 매출 유지를 위해 사용했던 '돌려막기' 수법과 유사하다는 월가의 지적이 나오고 있다.
인프라스트럭쳐캐피털어드바이저스의 제이 해트필드 CEO는 "현재 밸류에이션은 분명히 그러하다"며 "낙관할 실질적 이유가 없다"고 경고했다.
이로 인해 시가총액 1조달러 이상의 거대 기술기업 중 엔비디아, 애플, 아마존, 알파벳이 1% 안팎으로 하락했다. 마이크론은 견조한 실적 발표에도 AI 거품론 경계 속에 3% 가까이 내렸다.
오라클도 180억달러 조달을 위한 채권 발행 소식에 하락세를 보였다.
반면 테슬라가 4% 급등했다. 중국 최대 전자상거래 업체 알리바바는 AI 투자를 예상보다 더 늘리겠다고 밝히면서 9% 가까이 올랐다.
캐나다 광산 채굴업체 리튬 아메리카스는 트럼프 행정부의 지분 인수 추진 소식에 95% 폭등했다.
업종별로는 소재와 부동산이 1% 이상 떨어진 반면, 에너지는 1.23% 상승했다. 미국 상업용 원유 재고가 시장 예상과 달리 60만7,000배럴 감소한 영향이다.
CME 페드워치툴에 따르면 12월까지 기준금리 50bp 인하 확률은 75.2%를 기록했다. 시카고옵션거래소(CBOE) 변동성 지수(VIX)는 2.76% 하락한 16.18을 기록했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