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이 유럽연합(EU) 회원국 자동차·자동차 부품에 대한 15% 관세 부과를 8월1일 자로 소급해 적용한다고 발표했다. 사진은 지난 23일(현지시각) 미국 뉴욕에서 열린 제80회 유엔 총회에서 우르줄라 폰 데어 라이엔 EU 집행위원장(왼쪽)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만난 모습. /사진=로이터
미국이 유럽연합(EU) 회원국 자동차·자동차 부품에 대한 15% 관세 부과를 8월1일 자로 소급해 적용한다.

지난 24일(이하 현지시각)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미국 상무부와 무역대표부(USTR)는 EU와 지난달 21일 체결한 '프레임워크 합의'에 따라 이같이 관세율을 수정해 적용한다고 밝혔다. 해당 합의에는 27.5%를 적용받던 자동차·차 부품에 대한 관세를 15%로 낮춰 적용한다는 내용이 포함됐다.


이번 관세 인하는 EU가 미국산 제품에 대한 자국 관세를 인하하는 입법 조치를 취한 것을 조건으로 시행된다. EU는 이를 이미 완료했다.

아울러 EU산 제품 중 관세 면제 품목도 명시됐다. 코르크를 포함해 같은 미국 내에서 구할 수 없는 천연자원, 모든 항공기·항공기 부품, 일반 의약품과 해당 복제약 원료·화학 전구체 등 수백개 품목이 포함됐다. 해당 면제는 이번달 1일부터 적용된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지난 4월5일부터 교역국 대부분을 대상으로 10% 기본 관세를 발효했다. 지난달 7일부터는 기본 관세에 더해 국가별로 추가로 더해진 상호관세도 발효했다.


EU는 기본관세 10%에 10%를 더한 20% 상호관세를 부과받았다가 트럼프 대통령이 이를 30%로 높이겠다고 했다. 하지만 지난 7월 합의를 통해 관세를 15%로 낮췄다. 여기에는 품목별 관세인 자동차도 포함됐다.

최근 미국과 무역 합의 양해각서(MOU)를 맺은 일본은 자동차·차 부품 관세가 15%로 EU와 같다. 하지만 일본은 이번달 16일부터 적용된다.

한국은 지난 7월30일 미국과 상호관세율과 자동차·차 부품 관세율을 모두 25%에서 15%로 낮추기로 합의했다. 하지만 3500억달러(약 491조7500억원) 대미 투자 조건 등 후속 추가 협상에서 이견을 좁히지 못하면서 구체적인 시행 시기 등은 아직 확정하지 못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