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정보자원관리원(국정자원) 화재로 우체국, 정부24 등 주요 업무시스템이 중단된 27일 서울 서대문구 서대문우체국에 우체국금융 장애 발생 안내문이 게시되어 있다./사진=뉴시스
금융위원회가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에 이억원 금융위원장을 본부장으로 하는 중앙사고수습본부로 대응체계를 격상, 관계기관·금융업계와 함께 상황에 긴밀한 대응에 나섰다.

이번 사태로 금융위는 은행 비대면 계좌 개설 등 일부 서비스가 제한되고 가운데 금융당국이 이틀 연속 '긴급대책회의'를 개최했다.


금융위원회는 28일 권대영 부위원장 주재로 광화문 정부서울청사에서 2차 긴급 대응회의를 개최, 금융권 대응상황 등을 점검하고 국민 불편 최소화를 위한 대응방안을 논의했다. 이날 회의에는 금융감독원, 한국거래소, 금융결제원, 예탁결제원, 한국증권금융, 신용정보원, 서민금융진흥원, 주택금융공사, 금융보안원 등 유관기관과 업권별 협회·중앙회가 참여했다.

정부에 따르면 지난 26일 오후 8시15분 국정자원 5층 전산실에서 리튬배터리가 폭발, 화재로 번지면서 국가 전산망 기능이 사실상 멈췄다. 이로 인해 28일 현재까지 금융위와 금융정보분석원(FIU) 홈페이지가 마비된 상태다.

또 주민등록증 진위여부 확인 등 신분확인 절차, 인터넷 지로와 과금 납부 등 행정기관 연계 금융서비스, 우체국 연계 금융서비스 등에 대한 장애가 발생했다. 특히 은행권에서는 주민등록증 등 신분 확인을 통해 진행될 수 있는 모바일 입출금 계좌개설, 인증서 발급, 간편비밀번호 (재)등록 등의 업무가 차질을 빚고 있다.


금융권은 이날 회의에서 현 상황에 대해 "현재 주민등록증 진위 확인이 어려워져 신규 계좌개설을 할 때 운전면허증 등 대체 수단이 요구될 수 있고, 금융거래에 필요한 행정정보 자동접수(공공마이데이터)가 제한됨에 따라 별도 서류제출 등 요청이 있을 수 있으며 전산장애가 발생한 우체국 관련 자동이체 등 금융서비스가 일부 차질을 빚을 수 있다"고 설명했다.

행정정보와 긴밀히 연결돼 있는 배출권 거래 시장, 인터넷 지로 및 온라인 대금결제(디브레인 연계) 등은 시스템 복구 등에 맞춰 정상적인 운영이 가능한 상태다.

금융권은 업권에 팝업 페이지 등을 통해 장애가 발생한 금융서비스 내용을 상세하게 안내하고, 추가적으로 필요한 서류나 대체 인증수단 등을 공지, 지점 반복 내방 등 불필요한 혼선을 겪지 않도록 하고 있다.

아울러 대출 심사 등 과정에서도 대체 서류를 최대한 활용해 '선 신청접수 후 요건확인' 등 최대한 이용자들이 불편을 겪지 않는 방안을 강구하고 있다. 또 금융회사별 대응센터 구축 등을 통해 사태가 안정될 때까지 당국과 긴밀한 소통체계를 지속 유지키로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