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킹사고를 빚은 KT의 경영진들이 연이은 국회 국정감사에 증인으로 채택돼 여야의원들에게 질타를 받으며 곤욕을 치르고 있다. 최근 열린 국회 정무위원회 국정감사에서 참석한 김영섭 KT 대표는 불법 펨토셀 장비를 이용한 소액결제 피해 및 해킹사고에 대해 미흡하게 대처했다며 질책을 받았다.
오는 21일 예정된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국정감사에서는 KT 해킹사고에 더해 김영섭 대표 거취 문제도 거론될 가능성이 높다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김 대표는 이달 30일 행정안전위원회 종합 국감에도 출석할 예정이다.
과학기술정보통신위원회 국감에는 김 대표를 비롯해 ▲이용복 KT 부문상무 ▲추의정 KT 사내상무 ▲허태원 KT 컴플라이언스 추진실장 ▲황태선 KT CISO/CPO 등 주요 임원들도 출석한다.
해킹사고 관련 지난달 열린 과방위 청문회에서 여당 의원들은 책임론을 거론하며 김 대표에게 사퇴를 요구했다. 김 대표는 "지금 (사퇴에 대해) 말씀드리기는 부적절하다"고 답변한 바 있다.
KT는 정권교체 시기마다 경영진 교체 등 외압에 시달렸다. 2023년 8월 KT 사장 교체 과정에서도 의혹이 제기됐는데 현재 여당 의원들은 김 대표를 '윤석열 낙하산 인사', '통신 비전문가'라고 비난했다. 당시 KT 이사회는 윤경림 전 KT 부문장을 차기 대표이사로 내정했으나 검찰 수사가 시작되자 윤 전 부문장은 사의를 표명했다.
김 대표의 임기는 내년 3월까지로 약 6개월 남겨둔 상태며 통상적으로 최고경영자(CEO) 임기 만료 3개월 전까지는 차기 후보가 확정된다. 과방위는 2년전 KT 사장 교체 과정에서 외압 등 정치적 개입이 있었는지에 대해서도 조사할 예정인데 구현모 전 KT 대표와 당시 사장 후보였던 윤경림 전 KT 부문장 등도 국감 증인으로 채택된 배경이다.
이틀 전 열린 정무위 국감에서 김재섭 의원(국민의힘·서울 도봉갑)은 김 대표를 향해 "KT가 해킹 피해 사실을 부인하고 거짓 해명을 반복해 추가 피해가 커졌다"며 질타했다. 특히 SK텔레콤이 유사 피해 시 전체 고객에게 안내 문자를 보낸 것과 달리 KT는 피해자에게만 통지해 전체 고객 보호에 소홀했다는 점도 지적했다.
이에 김 대표는 "전체 고객에게 통지하면 피해와 무관한 고객이 불필요한 우려와 걱정을 느낄까봐 그랬다"면서도 "관리와 사전 예방을 제대로 하지 못해 국민과 고객께 불안감을 드린 점 깊이 사과드리며 혁신해 나가겠다"고 했다.
한편 KT 해킹사고 피의자들은 차량에 펨토셀을 탑재해 KT 기지국 네트워크를 가로채는 방식으로 불법 소액결제 범죄를 저질렀다. 지난 13일 기준 피해 규모는 220건, 피해 금액은 1억4000만원이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