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시스] 배훈식 기자 = 김광일 홈플러스 대표이사가 14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정무위원회 국정감사에서 의원 질의에 답변하고 있다. 오른쪽은 김병주 MBK파트너스 회장. 2025.10.14. dahora83@newsis.com /사진=배훈식
최근 홈플러스 기업회생 사태와 롯데카드 해킹 사고 등으로 국회 정무위원회 국정감사에 출석한 김병주 MBK파트너스 회장에 대한 여야 의원들의 질타가 쏟아졌다.

국민의힘 유영하 의원(대구 달서구갑)은 홈플러스가 롯데카드와 기업구매카드 약정을 맺고 신용등급 기준까지 낮춰 관련 금액이 증가한 것은 문제라고 지적했고, 더불어민주당 MBK 홈플러스 TF 단장을 맡고 있는 유동수 의원(인천 계양구갑)은 현 상황에선 홈플러스의 파산이 불가피한 것 같다고 우려했다.


지난 14일 국회 정무위원회 국정감사에서 국민의힘 유영하 의원은 MBK를 '약탈적 헤지펀드'로 지칭하면서 "홈플러스 사태의 본질은 사모펀드가 계열사인 카드사와 합작해 선진금융기법이라 하면서 홈플러스 부채를 외주화시킨 것"이라고 했다.

유영하 의원은 "MBK가 LBO 방식으로 인수하고 난 다음 홈플러스 매출이 떨어지고 이자 부담이 발생하자 자산을 팔아 이자를 메꾸고 투자금을 갚았다"며 "임대료가 오르고 유동성이 부족해지면서 롯데카드 기업구매카드 약정을 이용해 신용공여를 확대하고 자산유동화 전단채를 사용해 초단기자금도 마련했다"고 했다.

질의를 통해 유영하 의원은 "홈플러스가 기업회생을 신청하고 나서 롯데카드가 받지 못한 금액이 793억원"이라며 "딜라이브, 네파, 두산공작기계, 엠에이치앤코, 홈플러스 등 MBK가 인수한 기업들은 롯데카드 기업구매카드로 신용공여를 확대했다"고 주장했다.


유영하 의원은 "대기업들은 계열사에 자금 지원을 하게 되면 당국에 걸리지만 MBK는 사모펀드이기 때문에 법적 사각지대가 존재한다"며 공정거래위원회와 금융감독원 등 당국에 제도 개선을 촉구했다.

더불어민주당 유동수 의원은 "어려워질수록 훨씬 더 악순환의 고리에 빠진다"며 "지금 상태에서는 (홈플러스의) 파산이 불가피해 보인다"고 밝혔다.

유동수 의원은 삼일회계법인이 작성한 홈플러스 조사보고서를 거론하며 "홈플러스의 계속기업가치는 2조5000억원이고 청산가치가 3조7000억원"이라며 "청산가치가 계속기업가치보다 1조원 이상 높으면 법원이 청산하라고 판단을 내릴 확률이 높지 않겠느냐"고 반문했다.

유동수 의원은 이어 "집을 팔 때도 살 사람이 살 수 있는 가격에 맞춰줘야 한다"며 "인수희망자가 내세우는 인수 조건에 맞추기 위해 2000억원 (증여 약속)을 빼고 어떤 노력을 했느냐"고 추가 사재출연 의향을 질의했다. 이에 김병주 회장은 "우리 법인과 개인의 자금 여력이 부족하다"며 어렵다는 취지로 답변했다.

유동수 의원은 최근 MBK가 배포한 입장문 '국민 여러분께 드리는 말씀'의 문제점도 지적했다. 유동수 의원은 "사과문을 보면 인가 전 M&A 인수인의 자금 부담을 덜어주기 위해 최대 2000억원을 홈플러스에 무상으로 추가 증여하겠다고 돼 있다"면서 "인수인을 찾기 전에 홈플러스가 파산하거나 인수자가 나타나지 않으면 2000억원을 증여하지 않겠다는 뜻으로 해석된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