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일 의성군청 앞에서 '농어촌기본소득 시범사업 의성군 유치운동본부' 발족식이 열렸다./사진제공=농어촌기본소득 시범사업 의성군 유치운동본부

"농어촌기본소득은 의성에서 시작되어야 합니다. 의성의 변화가 전국 농촌의 미래를 바꿀 것입니다."

16일 경북 의성군청 앞에서 열린 '농어촌기본소득 시범사업 의성군 유치운동본부' 발대식 현장에서 울려 퍼진 목소리다. 인구소멸위기 1순위 지역으로 꼽히는 의성군이 정부의 농어촌기본소득 시범사업 대상지로 선정돼야 한다는 군민들의 열망이 본격적으로 표출됐다.


의성군농민회, 의성군여성농민회, 진보당 의성지역위원회 등으로 구성된 유치운동본부는 "의성은 대한민국 농촌의 축소판이자, 기본소득이 가장 절실한 지역"이라며 "의성의 성공이 곧 전국 농어촌의 희망이 될 것"이라고 한 목소리를 냈다.

운동본부는 이날 선언문을 통해 "농어촌기본소득 시범사업은 단순한 복지정책이 아니라 소멸위기 지역의 생존을 위한 국가적 실험"이라고 규정했다.

특히 "농촌의 노인들은 여전히 복지 사각지대에 있고 젊은이들은 떠나고 있다"며 "모두에게 보편적으로 지급되는 기본소득은 형평성과 신뢰, 공동체 회복의 첫걸음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최영철 의성군농민회 사무국장은 "의성은 지금 마을이 사라지고 공동체가 붕괴되는 현실을 겪고 있다"며 "15만원은 도시에서는 작은 금액일 수 있지만 농촌에서는 생계의 숨통이자 지역경제를 살리는 불씨"라고 말했다.

최 국장은 "이 돈이 지역 상점과 농산물 소비로 이어진다면 그 자체로 경제순환의 실험이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운동본부 관계자는 "의성군의 시범사업 선정은 단순한 행정지원이 아니라 대한민국 농정의 전환점이 될 일"이라며 "의성의 실험이 성공하면, 농촌도 다시 살아날 수 있다는 희망의 증거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의성군의 농어촌기본소득 시범사업 유치는 단순한 지역 지원이 아니라 농촌의 생존과 대한민국의 균형발전을 위한 선택"이라며 "의성이 그 출발점이 돼야 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