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일 경기도의회 등에 따르면 지난 5일 열린 본회의에서 양측은 정부의 10.15 부동산 대책 대응과 경기도의 100조 원대 투자유치 성과를 두고 날 선 공방을 벌였다. 김 지사는 고 의원의 공세에 '비열한', '야비한' 등의 거친 표현까지 사용하며 맞섰다.
고준호 도의원(국민의힘)은 이날 본회의 도정질문에서 김 지사를 상대로 정부 부동산 정책에 대한 도 대응과 경기도의 100조원대 투자유치 등 주요 정책에 대해 날 선 공세를 펼쳤다.
먼저 고 의원은 김 지사의 옛 발언을 영상으로 소개하며 "지사께서는 하지 말아야 할 두 가지를 발언했는데 지금, 이 모두를 다 했다"며 "정치 이념으로 (부동산 정책을) 결정했고 시장은 안중에도 없었다"고 공격을 시작했다.
이어 10.15 부동산 대책 발표 전 정부의 협의 요청에 대한 도의 답변에 대해 절차적 문제를 따졌다. 도에 따르면 대책 발표 이틀 전인 13일 정부가 도에 협의를 요청해 왔고 하루 전 "이견 없음"이라는 답변을 전달했다. 고 의원은 "경기도 12곳 부동산이 묶여 재산이 어떻게 될지 모르는데 도민과 시군의 협의 과정 거치지 않고 지사가 그냥 일방적으로 했다"고 강하게 따졌다.
"왜 갑자기 언성을 높이느냐"며 당혹감을 표한 김 지사는 "부동산 대책은 마치 금융실명제처럼 타당성이 인정되면 공개하지 못하고 빠르게 (시행)하는 것"이라며 "국토부에서 경기도에 요청한 것(협의)에 대해 빠르고 신속하게 의견을 주고 필요하면 건의해야 한다"고 해명했다.
김 지사 해명에도 공방은 이어졌다. 고 의원은 그러면 "의견 회신할 때 집행 부서와 논의는 거쳤느냐"고 또다시 따져 물었고, 김 지사 대신 답변에 나선 손임성 도시주택실장은 "그때 정부가 날짜까지 정해 의견을 달라고 요청해 자체적으로 (논의)하고 비서실에 (결과를) 보고 후 회신했다"고 당시 상황을 설명했다.
고 의원은 "별도 회의, 회의록도 없이 도민을 배제한 긴급 결정은 정권에 복종한 행정"이라며 김 지사를 향해 "대한민국 축소판 경기도가 청와대 출장소 같다"고 비난 수위를 높였다.
김 지사는 "고 의원이 국정과 도정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다"고 반박했다. 토지거래허가제(토허제)로 인한 불편함은 있지만, "부동산 시장 불안정 시 도민과 전 국민이 피해를 본다"고 강조했다.
부동산 공방에 앞서 두 사람은 경기도가 밝힌 100조원대 투자유치 성과에 대한 사실 여부를 놓고도 날 선 공방을 벌였다. 고 의원은 투자를 유치한 사업의 상당수가 김 지사 취임 전 투자 협상을 진행했거나 공사가 중단된 사업이며 의혹을 제기했다.
이에 대해 김 지사는 "유치 건수가 100건이 넘어 개별 사안을 일일이 얘기하기 어렵다"면서도 "100조원은 숫자 하나도 가공하거나 헛된 것이 없다"고 반박했다. 투자는 '협상-투자의향서(LOI)-양해각서(MOU)' 등 여러 단계를 거치며, 취임 전 협상했더라도 이후 과정이 투자 확정에 중요한 역할을 했음을 시사했다.
끝날 것 같던 설전은 고 의원이 김 지사의 개인 신상인 배우자의 도곡렉슬 아파트 보유 여부를 언급하며 최고조에 달했다. 고 의원이 토허제로 묶인 지역 아파트값은 떨어졌는데 강남 아파트는 올랐다고 비꼬았다. 이에 김 지사는 감정을 자제하지 못한 듯 "10년도 넘게 소유한 집인데 어떻게 '야비하게' 그렇게 이야기하냐?"며 강하게 유감을 표명했다. 양측의 험한 말과 고성이 오가며 도정질문은 험악하게 마무리됐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