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제설전진기지에서 구비하고 있는 제설차량. /사진제공=경기도
경기도가 대설·한파 대비 '과잉 대응'을 원칙으로 하는 '겨울철 자연재난 종합대책'을 수립하고 오는 15일부터 내년 3월15일까지 4개월간 본격적인 대응에 들어간다.
13일 경기도에 따르면 도는 지난해 11월 대설 피해를 근거로 이례적 대설과 극한 한파가 올해도 반복될 수 있다는 전망에 따라 이 기간을 '겨울철 자연재난 대책기간'으로 지정했다. 이에 도는 '과잉 대응'을 원칙으로 선제적 사전 대비와 단계별 대응에 적극 나설 방침이다.

도는 기상 변동성 심화에 대비해 현장 중심의 대설 대응력을 높인다. 특보 수준 이하 기상 예보에도 '비상대비' 근무 단계를 추가했다. 시군별 비상 1단계가 발령되면 3400여 명의 시군 본청 공무원들을 읍·면·동 현장에 직접 투입하여 제설 작업 및 위험시설 통제·대피 등 재난 대응 활동에 나설 계획이다.


지난해에 이어 '경기도 360° 스마트 영상센터'를 적극 활용할 방침이다. 시군에 설치한 18만여 대 폐쇄회로(CC)TV를 모두 볼 수 있는 영상센터를 활용해 적설 실황과 제설 작업 상황 등을 즉시 파악해 대설 사각지대를 최소화할 방침이다. 또 1500여 곳의 재해우려지역을 유형별로 묶어 중점 모니터링 체계를 구축, 현장 맞춤형 대설 대응에 나선다.

이례적 대설에 대비한 제설 역량도 한층 강화했다. 올 상반기 도로 열선시스템 설치비 27억 5000만원과 보도육교 대설 예방시설 설치비 28 9000만원을 시군에 지원했다. 최근 88억원을 포함해 시군 대설, 한파 대비 총 177억원의 예산을 지원했다.

그 결과, 11월 현재 제설제는 전년 대비 43% 증가한 21.4만 톤, 제설 장비는 전년 대비 39% 증가한 8800여 대를 확보했다. 특히 특정 지역 강설 집중 시 시군 제설제 부족으로 인한 도민 불편을 막기 위해 2시간 내 도에서 직접 지원이 가능한 제설제 1만 톤을 별도로 비축했다.


이와 함께 인명피해 예방을 위한 통제·대피를 체계화했다. 기상특보에 따른 안전안내문자 송출과 함께 적설량별로 대피준비, 대피권고, 대피명령을 순차적으로 실시해 인명피해를 완전 차단할 계획이다. 지난달부터는 주거용 비닐하우스, 전통시장, 축사 등 적설에 취약한 구조물 18가지에 대해 일제 점검을 시군과 합동으로 진행하고 있다.

대설 대비뿐만 아니라 한파 대비에도 강화한다. 한파 쉼터를 7962개 운영하고 쉼터의 난방기를 점검·수리한다. 방풍 시설과 온열 의자 등 도심 내 한파 저감 시설도 작년 대비 8052개에서 8476개로 424개 확충했다.

인명피해 우려가 큰 한파 취약계층을 위한 대비도 강화한다. 노숙인 구호를 위한 거리 순찰반이 야간포함 1일 1~3회 순찰하고, 취약 노인 6만 7000명을 대상으로 전담 인력 4600명이 안전 확인을 실시할 계획이다.

김동연 경기도지사는 특별지시를 통해 "겨울철 대설이나 한파에도 '과잉 대응'을 원칙으로 철저한 사전 대비와 신속한 현장 대응으로 도민의 생명과 재산을 지키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