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시교육청 전경/사진=부산교육청
내년 부산시교육감 선거가 '사법 리스크'라는 거대한 안갯속으로 빠져들고 있다. 보수와 진보 진영의 유력 주자로 각각 거론되는 전호환 전 동명대학교 총장과 김석준 현 교육감이 나란히 사법판단을 기다리는 처지에 놓이면서 불확실성이 커지고 있는 모습이다.
보수·중도 진영 후보로 이름이 오르내리는 전호환 전 총장은 교육자로서의 도덕성에 치명타를 입을 수 있는 위기에 직면했다. 임기(2025년 4월27일)를 한 달여 앞두고 있던 지난 3월12일 총장직에서 면직 처리된 그는 재임 시절 최대 치적으로 내세웠던 '유령학생' 문제로 경찰 수사를 받고 있다.

전 전 총장은 퇴임 당시 "신입생 모집 인원이 취임 당시 부산 4년제 대학 중 최하위에서 현재 사립대 중 우수한 수준이 됐다"고 밝혔지만 이 성과가 유령학생을 동원해 부풀려졌다는 의혹이 제기된 것이다. 지원하지도 않은 이들의 명의를 도용해 입학시킨 뒤 등록금을 대납하는 수법으로 충원율을 조작했다는 혐의를 받고 있다.


교육계에서는 오는 12월쯤 나올 경찰의 수사 결과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만약 경찰이 혐의가 있다고 판단해 검찰에 송치할 경우 전 전 총장은 교육 수장으로서의 자격에 씻을 수 없는 흠결을 안게 돼 사실상 선거 출마가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이 경우 보수 진영은 대안 찾기에 분주해질 수밖에 없다. 자연스럽게 지난 2025년 4월 보궐선거에 나섰던 인물들이 다시 수면 위로 부상할 전망이다.

가장 먼저 거론되는 인물은 전영근 전 부산시교육청 교육국장이다. 그는 지난 보궐선거 당시 보수·중도 후보 단일화 경선에 나서 정승윤 후보에게 아깝게 패배한 바 있다. 당시에도 교육 현장 경험을 바탕으로 상당한 지지를 얻었던 만큼 전 전 총장의 공백을 메울 유력한 카드로 꼽힌다. 보수 후보 단일화에 참여하지 않고 독자 출마해 '보수 분열'의 원인을 제공했다는 비판을 받았던 최윤홍 전 부교육감의 재등판 가능성도 점쳐진다.

진보 진영을 이끌고 있는 김석준 현 교육감의 상황도 녹록지 않다. 김 교육감 역시 사법 리스크에 발목이 잡혀 있기 때문이다. 현재 재판을 받고 있는 그는 오는 12월 1심 선고를 앞두고 있다.


김 교육감이 만약 1심에서 유죄가 선고될 경우 현직 교육감으로서의 리더십에 타격을 입는 것은 물론 항소심 등 남은 재판 과정이 2026년 선거 내내 꼬리표처럼 따라다닐 수 있다.

2026년 부산교육감 선거의 향방은 공교롭게도 두 유력 주자의 운명이 갈릴 것으로 보이는 12월에 그 윤곽이 드러날 전망이다. 전호환 전 총장의 기소 여부를 결정할 경찰 수사 결과와 김석준 교육감의 1심 선고가 모두 연말에 집중돼 있기 때문이다. 두 사람 모두 사법 리스크의 족쇄를 풀고 선거전에 본격적으로 뛰어들지, 아니면 이들의 좌초로 선거 구도가 재편될지 부산 교육계는 그 어느 때보다 긴장감 속에서 연말을 맞이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