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세훈 서울시장이 19일 오후 서울 동작구 노량진재정비촉진지구 노량진6구역 공사 현장을 방문해 착공 현황 설명을 듣고 있다. /사진=장동규 기자
노량진뉴타운 재개발 사업이 6·8구역 착공으로 본격화된 가운데 서울시는 남은 구역의 이주·인가 절차를 앞당겨 8개 전 구역의 조기 착공을 이끌겠다는 의지를 드러냈다.
오세훈 서울시장은 19일 오후 서울 동작구 노량진재정부촉진지구 노량진6구역 공사 현장을 방문해 점검했다. 오 시장은 "노량진 6·8구역 착공 소식이 반갑다"며 "나머지 재정비 구역도 행정 절차와 사업성 문제를 신속히 해소해 착공을 앞당길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노량진뉴타운은 2003년 2차 뉴타운에 포함된 이후 뉴타운 출구전략 등 굵직한 변화를 겪었지만, 8개 전 구역이 한 곳도 해제되지 않고 사업이 유지됐다.


노량진6구역은 노량진뉴타운에서 사업 속도가 가장 빠르다. 시공은 SK에코플랜트·GS건설이 맡았다. SK에코플랜트의 하이엔드 브랜드 '드파인'이 적용된다. 단지는 지하 4층~지상 28층, 14개 동 1499가구 규모로 조성된다.

지난해 공사비 증액 문제로 사업이 지연됐지만 서울시의 정비사업 코디네이터 제도를 적용해, 시공사가 요청한 2194억원 증액분 중 검증을 거쳐 1976억원으로 조정했고 지난 6월 최종 합의에 이르렀다.
"10·15 대책 영향 크다"… 오 시장, 조합원 의견 청취
오세훈 서울시장이 19일 오후 서울 동작구 노량진재정비촉진지구를 방문해 주민들과 간담회를 갖고 있다. /사진=장동규 기자
최윤정 노량진 재건축6구역 조합장은 "공사비가 오르면서 조합과 시공사 간 의견 차이가 컸지만, 서울시 코디네이터의 조정이 결정적 역할을 했다"며 "다만 10·15 대책 이후 동작구가 대출 규제지역이 되면서 잔금 부담을 호소하는 조합원이 많다"고 말했다.
오 시장은 현장에서 "10·15 대책으로 조합원 지위 양도 제한, 1인 1주택 요건 도입 등 변화가 생기며 조합원들이 동요하는 것으로 안다"며 "실수요자의 불편을 줄일 수 있도록 국토부에 지속해서 건의하겠다"고 밝혔다.

현장에는 다른 구역 조합원들도 참석해 10·15 대책에 대한 어려움을 호소했다. 김문선 노량진 1구역 재건축 조합장은 "내년 상반기 사업시행인가가 예정돼 있지만 이주비 제한으로 이주가 불가능하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오 시장은 "지난주 국토부 장관에게 대출 규제로 인한 어려움을 건의했다"면서 "실수요자의 불편을 줄일 수 있도록 지속해서 요청하겠다"고 말했다.


서울시는 노량진뉴타운 일대에 '신속통합기획(신통기획) 2.0'을 단계별로 적용해 ▲용도지역·용적률(대지면적 대비 건축물 연면적 비율) 완화 ▲심의·인가 절차 단축 ▲사업성 제고를 추진한다. 시는 노량진 8개 구역에 1만가구를 공급한다는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