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일 보험업계에 따르면 예보는 이달 말 예별손보에 대한 공개 매각을 진행할 계획이다. 앞서 한영회계법인을 통해 진행하던 예별손보 자산·부채 실사 작업이 대부분 마무리됐기 때문이다.
예별손보는 예보가 100% 출자해 설립한 가교보험사다. 현재 부실금융기관으로 지정된 MG손해보험의 자산·부채를 이전받아 보험 계약의 유지·관리 업무를 수행할 목적으로 운영되고 있다.
지난 7월 금융위원회는 예별손보 설립을 위한 보험업 조건부 허가를 의결했다. 이후 지난 9월 정례회의에서 MG손보의 영업을 정지하고 보험계약을 예별손보로 이전했다. 현재 예별손보 경영은 5개 손보사(삼성화재·DB손해보험·메리츠화재·현대해상·KB손해보험)가 맡고 있다.
예보는 매각 공고를 낸 뒤 적합한 원매자가 나타날 경우 매각 협상을 진행한다. 공개 매각 시작 후엔 올해 말까지 예비입찰을 받을 전망이다. 내년 초엔 우선협상대상자를 지정한 뒤 다시 한두 달이 지난 후 최종 인수자를 선정하게 된다.
인수자가 나타나지 않을 경우 예보는 현재 예별손보의 보험계약을 5개 손보사로 이전하는 작업을 준비할 것으로 보인다. 앞서 예보는 계약이전 방식을 두고 계약 차등분배 기준 마련을 위한 작업에 나섰다.
업계에선 예별손보 원매자가 나타날지에 대해 다소 회의적인 평가가 나온다. 부실계약 등을 이유로 2022년 4월 MG손보가 부실금융기관으로 지정된 탓이다. 이후 예보가 총 세 차례 매각을 시도했으나 모두 무산됐다.
다만 예별손보 출범 당시 MG손보 직원의 절반 정도만 고용승계됐고 급여도 기존의 90~95%로 낮추는 등 건전성 측면에서 나아졌다는 분석도 있다.
실제 송인찬 보상본부장을 시작으로 지난 9월 초 김재경 경영기획본부장, 현청훈 자산운용본부장, 김명욱 위험관리책임자(CRO), 오영환 준법감시인, 박현찬 선임계리사, 문성록 마케팅본부장, 김상원 IT팀장 등 총 8명의 MG손보 임원이 총괄 사임하기도 했다.
업계 관계자는 "예별손보 인수 의향자가 나타나지 않을 경우 5개 손보사의 부담이 커질 수밖에 없는 상황"이라면서도 "재무구조가 MG손보 때와 비교하면 다소 개선됐지만 인수자가 적극적으로 뛰어들 수 있는 매물이라고 보는 건 아직 조심스럽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