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1년에 가동된 기존 시설은 노후화가 심화되고 폐기물 발생량이 증가하면서 처리 능력에 한계가 도달한 상태다. 이로 인해 일부 종량제봉투 쓰레기는 외부 위탁에 의존하고 있어 새로운 시설 구축 필요성이 지속적으로 제기돼 왔다.
최근 한국개발연구원(KDI)의 약 1년간의 적정성 검토가 마무리되면서 사업은 탄력을 받게 됐다. 시는 생활환경 개선과 처리 안정성 확보를 위해 기존 시설을 대체하는 신설 자원회수시설 조성 작업을 본격화할 예정이다.
행정안전부의 지방재정 타당성조사 대상에서 제외되면서 전체 사업기간도 약 6개월 단축됐다. 시는 2030년 준공을 목표로 2026년에는 지방재정 투자심사, 입찰안내서 작성, 환경영향평가를 진행하고, 2027년에는 입찰공고와 기본·실시설계, 착공 전 인허가 등 행정 절차를 이어갈 방침이다.
앞서 시는 지난 13일 '환경자원센터 선호시설화 주민설명회'를 열어 사업 추진 배경과 일정, 친환경 설계 방향 등을 설명하고 주민들의 의견을 들었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