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 정부 출범 이후 강남 인접 지역을 중심으로 집값이 빠르게 오르며 '풍선효과'가 본격화하고 있다. 사진은 남산에서 바라본 서울시내 아파트 및 주택 단지./사진=뉴스1
새 정부 출범 이후 강남 인접 지역을 중심으로 집값이 빠르게 오르며 '풍선효과'도 본격화하고 있다. 재건축 기대와 한강 접근성 등 이점이 겹치면서 한강벨트 곳곳이 서울 집값 상승을 이끌었다. 이중 광진구가 가장 큰 폭의 오름세를 기록한 것으로 파악됐다.
23일 KB부동산 통계에 따르면 새 정부 출범 직후인지난 6월부터 10월까지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은 4.22% 상승했다. 같은 기간 전국(0.63%)과 수도권(1.61%)을 크게 웃도는 수준이다. 상승 흐름의 중심은 강남 대신 '강남 옆 동네'로 불리는 한강 동·서측 지역이었다.

이 기간 아파트값 상승률 1위는 광진구로 무려 10.15%나 뛰었다. 광장·자양동 재건축 기대 단지를 중심으로 수요가 몰린 영향이 컸다. 실제로 광진구 광장동 '극동1차' 전용 84㎡는 지난 10월 28억원에 거래되며 30억원에 근접한 수준까지 올랐다. 국평('국민평형') 기준 역대 최고가다.


성동구(9%대), 강동구(9%대) 역시 큰 폭의 오름세를 보이며 뒤를 이었다. 송파구(8.12%), 마포구(7.67%) 등 강남과 가까운 주요 구 역시 상승률 상위권에 올랐다. 전문가들은 대출 규제와 고가주택 부담이 강남 수요를 인접 지역으로 밀어내 한강 접근성·재건축 가능성·학군까지 겹친 지역이 수요를 빨아들였다고 분석했다.

반면 강남 3구의 상승 폭은 상대적으로 제한적이었다. 같은 기간 강남구는 5.09%, 서초구는 3.61% 오르는 데 그쳤다. 가격 수준이 이미 높고 대출 제한이 강하게 적용되면서 수요가 외곽으로 확산됐다는 평가다.

수도권은 지역별 편차가 뚜렷했다. 경기에서는 분당·과천·광명·용인 수지 등 일부 지역이 상승세를 보였고, 인천은 대부분 약보합 흐름에서 벗어나지 못했다.


부동산업계는 새 정부 초기의 집값 흐름이 대체로 임기 전반으로 이어지는 만큼, 이번 한강벨트 중심 상승세가 당분간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고 보고 있다. 다만 향후 규제 정책 강도와 대출 관리 여부가 시장 변동의 핵심 변수가 될 전망이다.

KB부동산에 따르면 서울 아파트 평균 매매가는 6월 13억8174만원에서 10월 14억6132만원으로 상승했다. 강남 3구는 같은 기간 17억원대에서 18억원대로 올랐다. 전국 아파트 평균 매매가는 10월 기준 약 5억4000만원 수준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