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변 시세보다 저렴한 분양가에 청약통장까지 필요 없다면? 내 집 마련을 꿈꾸는 실수요자에게 이보다 매력적인 조건은 없을 것이다. 이러한 소비심리에 부합한 지역주택조합 아파트가 최근 새롭게 조명을 받고 있다.

지역주택조합 아파트는 같은 관할구역에 거주하는 무주택자 20가구 이상이 모여 조합을 만들고 땅을 매입해 지은 공동주택을 말한다. 프로젝트파이낸싱(PF)을 일으키지 않아 금융이자가 발생하지 않고 시행사 없이 조합원이 사업주체가 돼 추가비용도 들지 않는다. 때문에 분양가가 주변시세보다 10%가량 저렴해 실수요자들 사이에서 인기를 끌고 있다.



 ◆실속 중소형 찾는 이들에게 '딱'

지역주택조합 아파트가 활기를 띤 것은 2년 전부터다.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2010년 이전까지는 전국적으로 진행되는 사업장이 미미했지만 2010년 4개(수도권 2개, 지방 2개), 2011년 9개(2개, 7개), 2012년 15개(5개, 10개) 등으로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전체 가구수도 2010년 1364가구에서 2012년 7182가구로 크게 늘어났다.

올해 역시 울산 6083가구, 광주 2060가구, 강릉 700가구 등 지방을 중심으로 활발하게 조합원 모집 및 분양이 진행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토부 주택정책과 관계자는 "수도권보다 토지 확보가 상대적으로 수월하고 구입비용도 저렴한 지방이 지역주택조합 방식에 알맞아 진행되는 사업이 많다"고 설명했다.


중소형을 선호하는 최근 주택시장 흐름과도 일치한다. 지역주택조합 아파트는 전용면적 85㎡ 이하만 건립이 가능하다. 무주택자 및 실수요자를 중심으로 주택을 공급해 투기자본의 침투 가능성도 낮다.

동호수를 조합원이 직접 선택할 수 있고, 일반분양에서 청약통장 없이 주택을 구입할 수 있는 점도 매력적이다.

양지영 리얼투데이 팀장은 "경기가 안 좋을수록 지역주택조합 아파트에 대한 선호도가 올라간다"며 "저렴한 중소형 아파트를 생각하는 실속형 실수요자들을 중심으로 관심이 늘고 있다"고 전했다.

토지 확보 유무 확인이 최우선

장점이 많은 만큼 신경 써야 할 부분도 많다. 지역주택조합의 밝은 면만 보고 섣불리 투자했다가 내 집 마련은커녕 금전적 손실만 안고 떠날 수 있기 때문이다.

우선 토지 소유권 확보가 제대로 됐는지 파악하는 게 가장 중요하다. 지역주택조합 아파트에 관심이 있는 실수요자라면 조합원들이 토지 소유권을 모두 확보했는지 여부를 꼼꼼히 따져본 뒤 접근하는 것이 좋다고 업계 전문가들은 전했다.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법을 적용 받는 재개발·재건축 사업과 달리 아직 법령 정비가 허술하다는 점도 불안요소다. 주택법에 포괄적인 내용만 규정돼 있을 뿐 구체적인 세부지침이 마련되지 않아 사업시행 과정에서 고소·고발사태가 난무하기도 한다.

이밖에 조합비리 등 사업 건전성을 파악하는 동시에 추가부담금 발생 여부, 시공사 재무구조, 자금관리 방식 등도 꼼꼼히 따져봐야 한다.

권주안 주택산업연구원 실장은 "어려운 경기에 지역주택조합 아파트는 실수요자 입장에서 메리트가 충분하다"면서도 "토지 매입·시공사 선정 등의 단계에서 문제가 발생해 사업 자체가 물거품이 되는 경우가 잦은 만큼 신중할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 본 기사는 <머니위크>(www.moneyweek.co.kr) 제275호에 실린 기사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