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매시장이 '8·28 전월세 종합대책' 효과로 달아오르고 있다.
대책 발표 직후 70% 후반대에 머물던 수도권 소재 아파트 낙찰가율이 9월 첫 경매에서 80%를 훌쩍 넘어섰다. 특히 그동안 수요자가 몰렸던 감정가 6억원 이하 아파트는 물론 감정가 6억원을 초과하는 중대형 아파트 낙찰가율도 80%를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다.
부동산경매정보 전문기업 부동산태인이 지난달 26일부터 이달 2일까지 법원 경매가 진행된 수도권 소재 아파트 881개를 일자별로 분류해 조사한 결과 이달 첫 경매가 열린 2일 낙찰가율은 83.59%로 집계됐다. 이는 전일인 8월30일 낙찰가율 77.33%에서 6.26%포인트 증가한 것이다.
사실 대책 발표가 가시화된 8월 말에도 경매시장 흐름에는 큰 변화가 없었다. 지난달 26일부터 대책이 발표된 28일을 거쳐 30일에 이르기까지 수도권 아파트 낙찰가율은 줄곧 70% 후반대를 유지해온 것.
9월 첫 경매부터 낙찰가율 80%를 넘어선 것에 대해 업계에서는 8·28 전월세 종합대책의 효과가 나타나기 시작한 게 아니냐는 해석을 내놓고 있다. 대책에 대한 분석이 어느 정도 끝난 9월 초부터 매수세가 유입되고 있다는 분석이다.
이를 반영하듯 수도권 소재 아파트 낙찰률도 올라섰다. 낙찰률은 그날 경매된 전체 물건 중 주인을 찾아간 물건의 비율을 나타내는 지표로, 높을수록 경매물건이 많이 팔렸다는 걸 의미한다. 2일 기준 낙찰률은 41.78%(146개 중 61개 낙찰)로 8.28대책 발표 이후 가장 높았다.
아울러 전체 물건을 감정가 6억원을 기준으로 나눠 조사한 결과 감정가 6억원 이하 아파트는 물론 그간 상대적으로 소외됐던 감정가 6억원 초과 중대형아파트 낙찰가율도 오름세를 보였다.
부동산태인에 따르면 2일 기준 감정가 6억원 이하 아파트 낙찰가율은 84.4%로 같은 날 전체 낙찰가율보다 0.81%포인트 높았다. 6억원 이하 아파트는 26일부터 29일까지 줄곧 80~81% 낙찰가율을 기록하다 30일 들어 77.33%로 주춤했지만 9월 첫 경매에서 7.07%포인트 뛰어올랐다.
감정가 6억원을 초과하는 중대형 아파트 낙찰가율도 2일 기준 81.95%를 기록했다. 전체 평균보다는 낮지만 60% 후반에서 70% 초중반을 유지하던 것에 비하면 증가세가 뚜렷하다. 8월 말에 비하면 7.06%포인트 증가한 것으로 6억원 이하 아파트와 낙찰가율 증가폭 차이가 거의 없다.
정대홍 부동산태인 팀장은 "8·28 대책으로 생애최초주택구입 지원과 그 수준에 준하는 자금 지원이 개시되고 있는 만큼 전세대란에 지친 실수요자들이 올 하반기 들어 시장에 나올 여건이 갖춰졌다"면서 "아직 예단하기 이른 시점인 것은 분명하지만 일간 단위 낙찰가율이 상당폭 오른 것은 시장에 나타난 하나의 신호로 볼 수 있다"고 분석했다.
이어 정 팀장은 "경매로 내 집을 마련하기 위해서는 현장조사와 해당물건의 권리분석이 필수"라며 "입찰 대상 아파트의 시세와 급매가, 주거 및 교통여건, 지역별 저감률, 경매 유찰기록 및 인근지역 낙찰사례 등 경매정보 수집 역량도 낙찰을 결정지을 수 있는 중요한 요인이기 때문에 반드시 철저하게 준비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