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이미지투데이
'편두통 진단법'

편두통 진단법이 한 포털사이트의 주요 검색어로 떠올랐다. 머리의 한쪽이 아프면 편두통이라는 일반적인 상식과는 달리 편두통은 상당히 전문적인 개념이었는데 그럼에도 확실한 편두통 진단법은 존재하지 않았다. 

통상 편두통은 40세 이전에 발생하는데 여성이 남성보다 3 배 더 취약하다. 그리고 상당수는 유전적 영향을 받는다고 알려져 있다. 

편두통 진단법이 일반 방사선이나 CT, MRI 등으로 확정되어 있지 않은 만큼 진단은 의사의 관찰에 따라 이뤄진다. 그래서 그 증상을 기억하는 것이 자가 편두통 진단법을 적용할때 유용하다. 
편두통 진단법에 포함되는 증상은 시각장애(전등이 점멸하는 듯한 깜빡임), 언어장애(어눌해짐), 두통과 함께 구토증세, 네시간이상의 두통 등이 있다. 

또 때로는 편두통 발작이 시작되려고 할 때 집중력 부족, 음식 갈망과 피로 등의 증상이 전조 증세로 나타나기도 한다. 

한편 만성 편두통의 경우 약품을 증가시킬수도 있는데, 약물과용두통으로 알려지는 두통으로 이어질 수도 있으며, 우울증, 불안, 공황장애, 뇌졸중의 위험이 증가할 수도 있다. 

한편 편두통 진단법이 확실치 않은 만큼 그 원인도 확실치는 않다. 세로토닌이라는 화학 물질에 의해 발생할 수 있다는 설도 있는데 정확한 것은 아니다. 

한 해외 사이트에서는 편두통을 예방하는데 도움이 되는 행위로 주5일 이상 중등도 강도의 운동을 30 분 수행하여 활성을 유지하는 것을 들고 있으며, 그럼에도 편두통이 발생할 경우에는 조용하고 어두운 방에서 휴식하고 되도록 잠이 들것을 조언했다. 

그리고 얼음팩을 수건에 이마 나 목의 측면 맥박 지점에 사용하는 것도 한가지 방법으로 추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