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세기 최고의 혜성' 아이손(ISON)을 볼 수 있는 기회가 찾아온다. 
지난해 9월 러시아가 주도하는 국제 공동 천문연구팀인 '국제과학광학네트워크'(ISON)가 처음 발견한 혜성인 아이손 혜성은 금세기에 가장 밝게 관측될 수 있기에 금세기 최고의 혜성으로 불리기도 한다. 

우리가 익히 알고 잇는 76년의 주기로 찾아오는 핼리 혜성보다 크기가 작지만, 태양 표면을 아주 가깝게 지나가기 때문이다. 

일반적으로 혜성은 태양과 가까워질수록 태양에너지를 충분히 받기 때문에 더욱 밝은 모습을 보여준다. 핵 속 물질들이 폭발적으로 분출돼 나오면서 압력 때문에 꼬리가 길게 밀려나가 밝은 모습을 연출하게 되는 것. 

아이손 혜성의 학술명은 'C/2012 S1'으로 S는 9월 16∼30일 사이에 발견됐다는 뜻이고, 1은 그 기간에 첫 번째로 발견됐다는 의미다.

그런데 아이손 혜성을 볼 기회는 이번이 처음이자 마지막이다. 이동 궤도가 타원형이 아닌 포물선이기 때문에 한번 태양을 스치고 지나가면 다른 곳으로 영원히 떠나가기 때문.

그러면 아이손 혜성이 가장 잘 보이는 날은 언제일까.  혜성의 꼬리가 최고조에 달하는 시점은 태양에 가장 가까이 다가가는 오는 29일(한국시간)이다.


그러나 이때는 오히려 태양빛에 가려 잘 보이지 않고 관측 시간도 짧아지기에 국립과천과학관은 도심에서 아이손 혜성의 전체 모습을 관측하기에 좋은 날로 오는 17일을 꼽고 관측행사를 마련했다. 

잘보이는 데다가 혜성의 위치가 처녀자리에서 가장 밝은 별인 '스피카'와 근접해 일반인도 쉽게 찾을 수 있기 때문이다.

금세기 최고의 혜성 관측행 참가에 관한 자세한 내용은 홈페이지(www.sciencecenter.go.kr)를 참고하면 된다.
국립과천과학관 홈페이지 캡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