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레일은 전국철도노동조합이 9일 불법파업 돌입 시 즉시 비상수송체제로 전환해 철도 이용객의 불편을 최소화할 계획이라고 6일 밝혔다.

KTX·수도권 전동열차 및 통근열차는 평상시와 같이 100% 정상 운행하고, 새마을호 및 무궁화호는 평시 대비 60% 수준을 유지할 계획이다. 화물열차는 평상시 대비 36%를 운행할 계획이며, 대체자원을 최대한 투입해 운행률을 향상시켜 나갈 예정이다.

이를 위해 필수유지 인력과 내·외부의 가용한 모든 인력을 동원한다는 방침이다. 파업시 인력운용은 필수요원 8418명, 대체인력 6035명 등 총 1만4453명이 투입될 예정이다. 대체인력은 철도공사 내부직원 4749명과 군·협력업체 등 외부인력 1286명이 확보된다.


코레일 관계자는 "철도노조 파업기간 중 열차지연이 예상되므로 고객들은 코일 홈페이지나 ‘코레일 톡’ 등을 통해 미리 열차운행 상황을 확인해 승차권을 구입하기 바란다"며 "철도역에서 승차권을 구입하면 평소보다 구입시간이 지연될 수 있으므로 인터넷이나 스마트폰을 이용하기 바란다"고 당부했다.


파업으로 운행 중지된 열차의 승차권 승차로부터 1년 이내 전국 철도역에서 전액을 반환받을 수 있다. 홈티켓·SMS 티켓·모바일·스마트폰 티켓도 코레일 홈페이지, 모바일, 스마트폰에서 반환이 가능하다.

최연혜 코레일 사장은 “철도노조가 파업에 돌입하더라고 필수유지 인력 및 대체인력을 최대한 활용해 국민의 불편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열차 운행에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