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는 2035년에는 원자력발전소 비중이 29%로 늘어날 전망이다.

산업통상자원부는 10일 이 같은 내용의 ‘에너지기본계획 정부안’의 주요내용을 국회 산업위에 보고했다고 밝혔다. 이날 보고한 정부안은 민관 워킹그룹이 50여차례의 논의 과정을 거쳐 마련한 권고안을 최대한 반영했다.


이 계획안에 따르면 2035년 원전 비중은 민간워킹그룹이 대내외 여건변화 및 국민수용성 등을 감안해 권고한 22~29% 범위에서 가장 높은 29% 수준이다. 정부가 온실가스 감축, 에너지 안보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한 것으로 현재 26.4%보다 약간 높은 수치다.

또한 2035년 에너지소비는 2억5410만TOE(석유환산 톤)으로 2011년(2억59만TEO)부터 연평균 0.9% 증가하는 것으로 전망됐다.

▲신고리 원자력 발전소 3,4호기 건설 현장


전력 비중은 27%인 7020만TOE로 억제한다. 전력은 연평균 2.5% 증가로 에너지원 중 가장 빠른 속도로 증가한다. 신재생 비중은 1차 계획의 목표치와 동일한 11%를 유지한다.


한편 산업부는 오는 11일 예정된 공청회에서 이날 보고내용을 중심으로 국민의견을 수렴할 계획이다.

산업부 관계자는 “공청회 결과를 바탕으로 에너지위원회와 녹색성장위원회 등 다양한 이해관계자를 대상으로 한 의견수렴 절차를 추가로 거친 후 국무회의 심의를 통해 에너지기본계획을 최종 확정할 예정”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