난치성 질환인 암을 치료할 수 있는 나노로봇의 원천기술 획득의 길이 열렸다.

전남대학교 박종오 교수의 ‘박테리오봇 융합연구단’에서는 과학전문지 ‘Nature’ 자매지인 ‘Scientific Reports’ 온라인 12월 최신판에 ‘박테리아기반 마이크로로봇을 이용한 암 진단 치료법에 관한 새로운 패러다임 (New paradigm for tumor theranostic methodology using bacteria-based microrobot)’이라는 제목의 논문을 발표했다고 16일 밝혔다.



'박테리오봇 융합연구단'은 미래창조과학부 (장관 최문기)와 한국연구재단의 ‘미래유망융합기술 파이오니어사업’의 지원을 받아 운영되고 있는데, 이번 논문은 암 진단 치료가 동시에 가능한 박테리아를 이용한 나노로봇 (박테리오봇)을 개발, 이를 이용하여 고형암(대장암, 유방암)를 효과적으로 진단 치료하는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한 것으로 향후 박테리오봇을 이용한 관련 암 치료제 개발과 의료용 마이크로/나노로봇 개발 등에 관한 원천기술 확보가 가능할 것으로 예측된다.

이번에 소개된 의료용 마이크로/나노로봇 기술(기능성 박테리아균주 개발, 능동형 약물전달체 개발, 의료용 마이크로로봇 개발 및 제어)은 국내 특허 출원 및 등록, 국제 PCT 출원과 미국, 유럽, 중국, 일본 등에 국제 특허 출원을 마친 상태다.


관련 논문이 게재된 ‘Scientific Reports’의 심사 의견(편집자 Lidong Qin, 코넬대 세포 발생생물학과 교수)은 ‘논문의 독창성에 동의한다’, ‘실험이 주의깊게 설계되었고 제시된 데이터는 결론을 뒷받침한다’ 등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고려대학교 융합대학원 이상호 교수는 “본 연구 성과는 세계 최초로 살아있는 생물체와 마이크로구조체를 융합시켜 암 지향성 치료능을 가진 의료용 마이크로로봇 (박테리오봇) 개발에 관한 가능성을 제시한 것"이라며 "암을 비롯한 난치성 질환의 진단 및 치료가 동시에 가능한 마이크로 나노로봇 개발에 관한 독창적인 연구결과로 중요한 이정표가 될 것”이라고 평가했다.

이번 연구의 총괄책임자인 전남대학교 로봇연구소 박종오 소장은 “본 연구 성과는 세계최초로 기존 암 진단 치료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새로운 능동형 약물전달체와 의료용 나노로봇이라는 의미가 있다" 며 "다양한 난치성 질환의 진단·치료가 가능한 의료용 마이크로 나노로봇 개발에 관한 도약의 계기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이번 연구에 참가한 전문가들은 박종오 교수(전남대 로봇연구소장)를 비롯해 박석호 교수(전남대 기계공학부), 민정준 교수(전남대 의대 핵의학), 박성준 박사(전남대 로봇연구소), 박승환 박사(전남대 의대 핵의학) 등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