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국민들의 평균 노후준비 점수가 58점에 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민연금공단은 지난 5월부터 공단의 ‘노후준비 종합진단서비스’를 제공받은 2만명의 진단 자료를 분석한 결과 노후준비 평균 점수가 58점으로 나타났다고 17일 밝혔다.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경제적인 부분에서의 점수가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소득과 자산 50.1점, 사회적 관계 52.8점, 여가활동 55.4점, 건강한 생활습관 73.5점이었다.

연령별로는 20대 이전 47.6점, 30대 54.8점, 40대 60.0점, 50대 62.1점, 60대 이상 58.7점으로 50대의 노후준비가 튼튼한 반면 젊은층의 노후준비는 미약한 것으로 나타났따.

한편 올 한해 가장 주목받은 노후설계 관련 이슈는 기초연금 도입이었다.


지난달 국민 1000명을 대상으로 재무·비재무부문으로 나눠 ‘2013년 노후설계 10대 이슈’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재무부문에서는 ‘기초연금 도입’이 36.0%로 1위를 차지했다.

뒤를 이어 ‘정년 60세 이상 의무화 추진'(17.3%), ‘은퇴 후 재취업 증가'(16.3%), ‘가계부채 1000조 육박'(15.8%), ‘하우스푸어 등 푸어 전성시대'(14.6%) 순이었다.

국민연금공단 관계자는 “국민 대다수가 기초연금 도입 등 재무부분에 대한 관심이 높았으나 노후준비 정도는 상대적으로 취약했다”며 “향노후설계 서비스의 질을 높이고 활성화하는 도움을 줘야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