병무청·통계청·서울시·제주도교육청이 올해 실시된 청렴도 평가에서 최고기관으로 선정됐다. 반면 검찰청과 경찰청, 그리고 국방부가 올해 실시된 첨렴도 평가세어 최하 등급을 받았다. 특히 검찰과 경찰은 청렴도 평가에서 3년 연속 최하 등급을 받는 수모를 받았다.

국민권익위원회는 19일 중앙행정기관과 지방자치단체, 교육청, 공직유관단체 등 653개 공공기관에 대한 '2013년도 청렴도 조사'를 실시해 결과를 발표했다.


평가는 ▲민원인(16만5191명) ▲기관 소속직원(5만6284명) ▲학계 및 시민단체 등으로 구성된 정책고객(1만8507명)의 설문조사 결과에 부패사건과 설문과정에서의 신뢰도 저해행위에 대한 감점을 적용해 산출했다.

전체 공공기관 종합 청렴도는 7.86점(10점 만점)으로 지난해와 같았다. ▲민원인의 금품·향응·편의 제공 ▲위법·부당 예산집행 ▲부당한 업무지시 등 부패경험 항목은 개선됐지만  ▲연고관계에 따른 업무처리 ▲조직 내 알선·청탁·압력행사 정도 ▲부패신고자 보호 실효성은 전년도에 비해 하락한 것으로 조사됐다.

39개 중앙행정기관의 경우 수사·단속·규제기관에서는 병무청이, 일반 행정기관에서는 통계청이 최고 점수를 기록했다. 16개 광역자치단체에서는 서울시가, 시·군·구에서는 경기 오산시, 충북보은군, 서울 마포구가, 교육청에서는 제주특별자치도교육청이 각각 최고 점수기관으로 조사됐다.


공기업부문은 한국남부발전, 준정부부문은 기술보증기금·한국주택금융공사, 지방공사부문은 경기관광공사, 지방공단부문은 대구광역시환경시설공단이 최고 점수를 받았다.

연구원부문은 한국과학기술연구원, 기타공직유관단체부문은 한국수출입은행, 국공립대학부문은 한국기술교육대학교가 최고 점수를 받은 기관이었다.

중앙행정기관과 공직유관단체는 사건조사, 현장조사 등 각종 조사업무와 관련한 청렴도가 가장 낮았다. 광역자치단체는 공사 관리 및 감독, 기초자치단체는 인허가, 교육청은 운동부 운영의 청렴도가 가장 낮아 부패에 취약한 분야로 조사됐다.

반면 국방부와 경찰청, 검찰청은 중앙행정기관 중 최하위 기관으로 꼽혔다. 광역자치단체 중에서는 충청남도, 기초자치단체 중에서는 충북 천안시, 충북 청주시, 경기 김포시, 경남 창원시, 충남 아산시가 최하 등급을 받았다.

공기업 중에서는 한국수력원자역, 한국도로공사, 한국철도공사가, 준정부기관에서는 한국석유관리원,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한국연구재단, 한국농어촌공사, 한국승강기안전기술원, 한국인터넷진흥원이 최하 점수를 받았다.

권익위 측은 "고위공직자가 비리에 연루됐거나 조직내부의 부패문제가 드러난 기관들은 하위에 주로 분포됐다"고 설명했다.

권익위는 청렴도 미흡기관은 청렴컨설팅, 반부패경쟁력평가 등을 확대 실시해 자율적인 반부패 노력과 관심을 적극 유도하고, 우수기관은 타 기관에 청렴기법을 전파·확산시키도록 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