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인터넷진흥원(KISA)은 지난 26일까지 접수한 스미싱 신종 악성앱의 수가 2278건이라고 29일 밝혔다. 이는 지난해 15건과 견줘 무려 150배 이상 늘어난 수치다.
스미싱 문자의 내용도 2월까지는 할인쿠폰을 미끼로 제과점이나 프랜차이즈 브랜드를 사칭해 혜택을 제공한다는 단순한 내용이 약 80%를 차지했고, 3∼4월과 5월에는 각각 쇼핑몰·음식점에서 일정 금액이 결제됐다는 내용이나 돌잔치·청첩장 등 지인을 사칭한 내용이 많았다.
그러나 9월 들어서는 법원·경찰을 사칭해 소송에 연루됐거나 법원등기를 전달하고자 한다는 내용이 전체의 50% 가까이 될 만큼 늘었고, 10월에는 교통위반이나 카드결제 관련 스미싱이 뚜렷한 상승세를 나타냈다.
곧 다가올 연말이나 설에는 지인을 가장한 안부인사나 대학입시 결과, 입학금 통지 등과 관련한 내용이 늘어날 것으로 KISA는 예측했다.
특히 개인정보와 결합해 지능화한 형태가 되면 이용자가 스미싱인지 정상적인 문자인지 구별하기 어려울 수 있다며 주의를 당부했다. 가령 자신의 차량번호가 명기된 교통단속 문자나 자신이 사용하고 있는 신용카드 번호가 표시된 결제 관련 문자는 정상적인 문자와 구별하기 어렵다.
KISA는 보안 점검 앱 '폰키퍼'를 통해 새롭게 등장한 스미싱 문자를 공지하고 악성앱 유포 사이트와 정보유출 서버를 접속차단하는 기능을 제공하고 있다.
KISA 측은 안드로이드 스마트폰에서 '알 수 없는 출처'의 다운로드를 허용하지 말고 필요한 앱은 공식 장터에서만 내려받을 것과 정기적인 스마트폰 백신 점검을 조언했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