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왼쪽부터 심재오 KB국민카드 사장, 손경익 NH농협카드 분사장, 박상훈 롯데카드 사장(사진 = 뉴스1 한재호 기자)
사상 초유의 카드사 정보유출 사태가 결국 해당 카드사 경영진의 일괄 사의 표명이라는 후폭풍을 몰고 왔다.20일 롯데카드는 박상훈 사장을 비롯한 경영진 9명이 일괄 사의를 표명했다.
롯데카드는 “카드사 고객정보 유출사태에 대한 도의적 책임을 이유로 박 사장을 비롯한 경영진 9명이 일괄 사의를 표명했다”고 밝혔다.
박 사장과 경영진들이 고객정보유출로 인해 일괄 사의를 표명하면서 이 사건에 연루된 금융사 경영진 전부가 사퇴의사를 밝혔다.
이날 오후 손경익 NH농협카드 사장이 자진사퇴 의사를 밝혔다. 농협은행은 “이번 고객정보 유출에 대한 책임을 통감해 카드사업을 총괄하는 손 사장이 사퇴의사를 밝혔다”며 “김주하 농협은행장이 이를 수용했다”고 말했다.
손 사장의 사퇴로 김 은행장이 비상대책위원회를 직접 지휘하게 됐다. 비대위는 사태의 빠른 수습과 함께 재발 방지를 위한 정보보안 강화 ‘컨트롤 타워’ 역할을 담당할 예정이다.
농협카드에 이어 KB국민카드 역시 심재오 사장이 사표를 제출했다. KB금융에 따르면 심 사장을 비롯한 KB금융, 국민은행, KB국민카드사 임원들이 임영록 KB금융지주 회장에게 사표를 제출했다.
KB금융 부사장 이하 모든 집행위원 10명, 이건호 국민은행장 이하 국민은행 임원 8명, 심재오 국민카드 사장 이하 국민카드 임원 9명 등 총 27명이 사표를 제출한 것이다.
KB금융의 경우 지주사와 은행, 카드사 최고경영자와 임원진이 사표를 제출한 것은 그간 이어져온 각종 사고 때문이라는 분석이 금융권에서 제기되고 있다.
이번 정보 유출사고에 앞서 국민은행 도쿄지점 비자금 사건이 발생했고 국민주택기금채권 위조·횡령 사건이 발생하기도 했다.
이 뿐만이 아니다. 사상 초유의 고객정보 유출의 시발점이라고 할수 있는 코리아크레딧뷰로(KCB)의 모든 경영진도 이날 저녁 사의를 표명했다.
KCB는 모든 임원이 카드사 고객정보 유출 사태에 대한 도의적 책임을 통감하고 사표를 제출했다고 밝혔다.
KCB에 따르면 김상득 대표이사를 비롯한 회사 임원은 긴급회의를 열고 사표를 제출했다. 이에 따라 KCB는 이번주 안에 이사회를 개최하고 후속 조치를 취할 예정이다.
한편 KCB 직원 박모(39)씨는 자신이 컨설팅을 담당했던 국민카드(5300만명), 농협카드(2500만명), 롯데카드(2600만명) 등 1억400만명의 고객정보를 빼돌려 일부를 팔아넘겼다. 박씨는 현재 검찰에 구속된 상태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