또한 연령이 높을수록 이명증상은 더 흔하게 나타나는데, 현대인의 평균수명은 높아지기에 계속 늘어나고 있는 추세다.
매미울음 소리, 기차소리, 종소리 등의 불규칙한 소리가 귀에서 또는 머리에서 들리는 증상을 이명이라고 한다. 본인만 느끼기 때문에 들리기 시작하면 계속 신경이 쓰이고, 또 신경을 쓸수록 더욱 또렷하게 들리는 게 특징.
그런데 최근엔 경쟁사회에 일찌감치 뛰어든 젊은 층에서도 이명증상이 증가하고 있다. 경쟁과 압박에서 오는 스트레스가 가중된 영향이 크기 때문으로 보고 있다.
생애 처음 사업을 시작한 32세 A씨 역시 이명증상을 앓게 되었다. 사업 고민과 스트레스로 일에 치여 생활하던 중, 언제부턴가 한쪽 귀에서 이명 증상이 시작되었지만 처음엔 대수롭지 않게 여겼다.
그러나 시간이 지날수록 귀에서 나는 소리는 양쪽에서 더 심해지게 됐고 잠을 제대로 못 이루게 된 것이다. 급기야 상대방의 말이 정확히 구분되지 않아 되묻기 까지 하며 서서히 난청증상 까지 나타나게 되었다.
A씨처럼 이명증상은 다른 증상들을 수반할 수 있다. 서서히 들리지 않는 난청, 갑작스럽게 잠시 동안 들리지 않는 돌발성 난청이 대표적 증상이고 그 외에도 어지럼증, 두통, 위장장애, 귀막힘, 구토, 불면증, 불안함, 우울증, 신경쇠약 등이 동반 될 수 있다.
오대경희한의원 문성훈 원장은 “요즘 이명을 앓고 있는 젊은 층은 생명에 지장이 없는 증상으로 여겨 치료를 미루는 경우가 많다”며 “그대로 두면 난청 등의 심각한 증상을 동반 할 수 있기 때문에 오랫동안 방치해 두어선 안 된다”고 말했다.
한의학에서는 귀를 우리몸속 신장(신腎)과 깊은 연관이 있는 것으로 본다. 신장(腎)이 건강하지 못해 정기가 허약해지면 뇌수가 부족하게 되어 머리가 어지러울 수 있고 귀에서 소리가 나며 잘 듣지 못한다고 해석한다.
문 원장은 “신장은 오장육부의 정기를 저장하는데 정기가 몹시 허약한 사람은 잘 듣지 못하게 되고, 귀는 안으로 뇌수와 연결돼 있는데 뇌수를 관장하는 신장이 허약하면 뇌수의 부족으로 이어져 청력에 영향을 줄 수 있다”고 근본 원인을 언급했다.
신장과 오장육부가 건강한 사람은 스트레스나 소음 같은 외부환경에 노출되더라도 쉽게 이명이 나타나지 않는 셈. 따라서 한의학적 이론에 입각해 이명의 원인을 없애는 근본치료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이명을 예방하는 가장 현명한 방법은 충분한 수면과 규칙적이고 균형적인 식생활 같은 올바른 생활습관이라 할 수 있다. 하지만 증상이 찾아왔을 때는 전문적인 진단 후 조기 치료를 받는 것이 이명에 대처하는 효과적인 방법이라 할 수 있겠다.
이명과 난청을 가볍게 생각해 치료를 포기하지 말고 평소 자신의 생활습관을 되돌아 본 후, 치료를 통해 충분히 호전될 수 있기에 적극 대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A씨처럼 이명증상은 다른 증상들을 수반할 수 있다. 서서히 들리지 않는 난청, 갑작스럽게 잠시 동안 들리지 않는 돌발성 난청이 대표적 증상이고 그 외에도 어지럼증, 두통, 위장장애, 귀막힘, 구토, 불면증, 불안함, 우울증, 신경쇠약 등이 동반 될 수 있다.
오대경희한의원 문성훈 원장은 “요즘 이명을 앓고 있는 젊은 층은 생명에 지장이 없는 증상으로 여겨 치료를 미루는 경우가 많다”며 “그대로 두면 난청 등의 심각한 증상을 동반 할 수 있기 때문에 오랫동안 방치해 두어선 안 된다”고 말했다.
한의학에서는 귀를 우리몸속 신장(신腎)과 깊은 연관이 있는 것으로 본다. 신장(腎)이 건강하지 못해 정기가 허약해지면 뇌수가 부족하게 되어 머리가 어지러울 수 있고 귀에서 소리가 나며 잘 듣지 못한다고 해석한다.
문 원장은 “신장은 오장육부의 정기를 저장하는데 정기가 몹시 허약한 사람은 잘 듣지 못하게 되고, 귀는 안으로 뇌수와 연결돼 있는데 뇌수를 관장하는 신장이 허약하면 뇌수의 부족으로 이어져 청력에 영향을 줄 수 있다”고 근본 원인을 언급했다.
신장과 오장육부가 건강한 사람은 스트레스나 소음 같은 외부환경에 노출되더라도 쉽게 이명이 나타나지 않는 셈. 따라서 한의학적 이론에 입각해 이명의 원인을 없애는 근본치료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이명을 예방하는 가장 현명한 방법은 충분한 수면과 규칙적이고 균형적인 식생활 같은 올바른 생활습관이라 할 수 있다. 하지만 증상이 찾아왔을 때는 전문적인 진단 후 조기 치료를 받는 것이 이명에 대처하는 효과적인 방법이라 할 수 있겠다.
이명과 난청을 가볍게 생각해 치료를 포기하지 말고 평소 자신의 생활습관을 되돌아 본 후, 치료를 통해 충분히 호전될 수 있기에 적극 대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움말, 이미지제공=오대경희한의원>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