극심한 가려움을 동반하는 아토피 피부염으로 병원을 찾는 이들이 매년 100만명을 넘어서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그중 절반은 9세이하의 아동이었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은 26일 이 같은 내용을 담은 '아토피 피부염(L20)’질환의 건강보험 진료비 지급자료를 분석한 결과를 내놓았다.

이에 따르면 2008년~2012년 연평균 진료인원은 104만명이었고, 이중 남성은 49만명, 여성은 55만명으로 여성이 남성보다 더 많이 진료받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아토피는 이상한 또는 부적절한 뜻의 그리스어에서 유래된 단어로 음식물이나 흡입물질에 대한 알레르기 반응이 유전적으로 발생한 경우를 말하는데, 아토피 질환에는 아토피 피부염 외에도 천식, 알레르기 비염, 알레르기 결막염 등이 포함된다. 

2012년의 아토피 피부염 인원을 연령대별로 보면 9세 이하가 전체 진료인원의 절반에 육박하고, 연령이 높아지면서 진료인원이 줄어들었다. 특히 영유아기인 0~4세 구간에서는 진료인원이 32만 1천명으로 100명당 15명이 진료를 받아 전체 진료인원의 1/3를 점유했다.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피부과 조남준 교수은 “아토피 피부염은 연령에 따라 3단계로 나눌 수 있으며 단계별로 임상 양상과 피부 병변의 분포가 다르게 나타난다”고 설명했다.

유아기(생후 2달∼2세 사이)는 보통 생후 2-3개월 이후에 급성병변으로 시작한다. 양 볼에 가려운 홍반이 나타나는 것이 특징이며, 두피와 사지의 폄 쪽에도 병변이 나타나며, 삼출이 심한 경우도 있고 감염을 일으켜 딱지, 농포 등을 보이기도 한다. 감기나 예방주사가 습진을 악화시킬 수 있다.
소아기(2세∼10세)는 팔굽 앞부위나 오금부에 피부염이 생기는 것이 특징이며 엉덩이, 눈꺼풀, 손목, 발목 등에도 나타난다. 입술 병변도 흔하며 유아기보다는 급성병변이 적고 아급성병변이 많다.

성인기 아토피 피부염이 계속되는 경우 소아기와 비슷한 분포를 보이며 태선화 같은 만성병변이 많고, 손에 만성 습진이 흔히 나타나며, 여성은 유두습진이 특징적으로 나타날 수 있다. 아토피 피부염과 동반되는 소견은 수부습진, 눈 주위가 검어지고 주름이 생기며 백내장 등이 발생할 수 있으며 여러 종류의 피부감염도 증가한다.
한편 9세 이하 연령층을 대상으로 시도별로 분석해본 결과 2012년 기준으로 ‘아토피 피부염’ 1만명당 진료인원이 제주도(1211명)와 수도권지역(서울, 인천, 경기 : 1000명 이상)에서 많았고, 부산(805명)과 경북, 전남, 경남지역은 환자가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미지제공=국민건강보험공단 보도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