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는 2012년부터 2년간 3세~69세까지 우리 국민 총 2717명을 대상으로 그간 내분비계장애추정물질로 보고되어 왔던 파라벤에 대한 노출수준을 평가한 결과에 따른 것이다.
이 자료에 따르면 체중 60kg 성인의 경우 일일섭취허용량은 600mg인데 비해 파라벤이 2.4mg 이하로 노출되고 있어 안전하다.
내분비계장애물질이란 사람이나 동물의 내분비호르몬과 비슷하게 작용하는 화학물질로 사람이나 동물의 생리작용을 교란시킬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중 파라벤(paraben)은 식품, 화장품 및 의약품 등에 다양하게 사용하고 있는 보존제로서 메틸, 에틸, 프로필, 부틸 파라벤 등이 있다.
이번 조사는 소변 중에 포함되어 있는 파라벤 함량을 분석했으며, 실험동물 등을 이용한 생리학적약동학모델(PBPK)을 활용하여 우리국민들이 식품, 의약품, 화장품 등 외부환경으로부터 노출될 수 있는 파라벤의 총량을 환산한 결과가 발표되었다.
어린이 및 청소년(3~18세) 분석 결과, 파라벤의 노출추정치는 평균 0.01mg/kg b.w./day 일일섭취용량(ADI)의 0.1%, 성인(19~69세)의 경우 0.029mg/kg b.w./day로 나타났으며, 이는 일일섭취허용량(ADI)의 0.3% 수준이다.
각 연령별 분석 결과, 10~12세 어린이의 경우 0.006 mg/kg b.w./day로 가장 낮게 나타났으며, 40~49세 성인의 경우 0.032mg/kg b.w./day로 가장 높게 나타나는 결과를 보였다.
또한 성별 분석 결과, 성인여성의 경우 0.038mg/kg b.w./day로 나타났으며, 성인남성의 경우 0.021mg/kg b.w./day로 나타났다.
식약처는 이번 연구 결과가 우리 국민의 인체노출정도는 안전한 수준임을 보여주는 것으로 국내 식품, 의약품 등에 있어서 파라벤에 대한 사용기준이 적절히 관리되고 있음을 의미한다고 밝혔다.
아울러, 국민들의 일상 생활속에서 접할 수 있는 파라벤, 벤조페논 등 관심이 높은 화학물질에 대해서 지속적인 모니터링 및 노출평가를 수행하고 그 결과를 국민들에게 공개할 예정이다.
한편 최근 KBS'생생정보통'에서 화장품과 물티슈 등에서 파라벤이 각종 질환을 일으킨다는 내용이 방송되어 화제가 된바 있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