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세계그룹이 인문학 청년인재 양성프로젝트 일환으로 지난 8일 첫 강연인 '지식향연-4월 서막'을 연 가운데 정용진 부회장이 서울 연세대학교 대강당에서 2000여명의 학생들 앞에서 기조연설로 인문학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정용진 신세계그룹 부회장이 대학생들의 면접 에피소드를 전하며 안타까움을 전했다.정 부회장은 지난 8일 연세대 대강당에서 열린 인문학 청년인재 양성 프로젝트 ‘지식향연-4월 서막’에서 대학생 2000여명을 대상으로 강연을 펼쳤다. 신세계그룹 경영을 이끌어 온지 4년째인 정 부회장이 대학생을 대상으로 강연에 나선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정 부회장은 이 자리에서 “대학생들이 신세계그룹 면접에서 자신의 주관적 소신을 얘기하는 게 아니라 예상 질문에 대한 모범답안을 외우고 온 ‘판박이 답변’이 압도적으로 많았다”며 “그동안 우리 기업들이 스펙만 좋은 사람들을 뽑다 보니 창의성보다 획일화된 기업문화가 확산되는 한계에 부딪힌 것이 사실”이라고 지적했다.
같은 맥락에서 정 부회장은 대학생들에게 ▲줄거리만 보지 말고 캐릭터 위주로 고전을 많이 정독할 것 ▲빨리 속도를 내다보면 꽃 같이 귀하고 아름다운 것을 놓치기 십상이니 주변을 살필 것 ▲사안을 깊이 들여다 볼 것을 당부했다.
또한 정 부회장은 이런 점을 적극 반영해 신세계그룹도 앞으로 스펙만으로 사원을 뽑는 것이 아니라 인문학적 소양을 통해 통찰력을 갖추고 차별화된 인재를 선발할 방침이라고 약속했다.
그는 ‘들여다 보기’의 한 사례로 장석주 시인의 <대추 한 알>이라는 시를 소개하며 “대추가 몇 개 있는지가 중요한 게 아니라 그 안의 고뇌와 외로움을 찾고 결과만이 아닌 과정을 읽는 게 더 중요하다”고 말했다. 인문과 철학에 바탕을 두고 결과만이 아닌 과정까지 중시하는 등 안목을 넓혀 인생의 큰 그림을 그리라는 얘기다.
정 부회장은 또 “고객을 행복하게 만들기 위해서는 임직원이 먼저 행복해야 한다”면서 고(故) 김태길 전 서울대 교수의 <삶이란 무엇인가>라는 책에 실린 인간의 행복 조건 5가지를 소개했다. 행복 조건 5가지는 ▲생활의 안정 ▲건강 ▲자아의 성장 ▲원만한 대인관계 ▲공동체 안의 떳떳한 구실이다.
그는 경영서적보다 인문학서인 ‘삶이란 무엇인가’가 자신의 삶의 태도나 회사를 운영하는데 있어 중요한 ‘내비게이터’ 역할을 한다고 강조했다.
정 부회장은 마지막으로 “혼란의 시대에 오늘에 충실하고 내일을 준비하며 우리 사회를 이끌 미래의 리더들에게 ‘청년 영웅’이란 이름을 붙여주고 싶다”고 밝혔다. 이어 “청년 영웅이 튼튼한 뿌리를 갖추며 성장해 나갈 수 있도록 응원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신세계그룹이 준비한 ‘지식향연’은 연세대에 이어 향후 성균관대·이화여대·부산대·전남대·제주대 등 전국 10개 대학에서 펼쳐진다.
이 과정에서 최종 선발된 20명의 청년 영웅에 대해 ▲세계 각지의 인문학의 중심지를 찾아가는 ‘그랜드 투어’ 기회 제공 ▲소정의 장학금 지급 ▲입사 지원 시 가점 부여 등의 혜택을 준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