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음식점에 가면 손님들이 이구동성으로 하는 말이 있다.
“야, 진짜 오랜만에 배 터지게 먹었다”


이는 보리밥에 막걸리가 공짜라서 양만 많다는 말도 되지만 맛있어 정말 배가 남산만 해지는지도 모른 채 먹었다는 말도 된다.

▲ 황도바지락칼국수 내부 모습 (제공=황도바지락칼국수)

그래서인지 모르나 대부분의 손님은 누가 시키지도 않았는데도 자발적으로 카운터 옆에 비치된 가게 명함을 한 장, 두 장 알아서 챙겨 나간다.


이른바 입소문 마케팅(buzz marketing)의 당사자, 즉 홍보요원이 된다.
이집이 뭐가 그리 대단하기에, 지금은 그래도 많이 줄었다지만 요즘 같은 불황기에 아직도 휴일이면 줄을 서서 기다리며 손님들이 황도의 전도사가 되기를 자처하고 나서는가?


구체적으론 맛, 청결, 서비스에 있지만 아무래도 그 뒤에는 카리스마 넘치는 정견진 사장의 ‘고집불통“에 있다 해도 과언이 아니다.

사람이란 것이 앉으면 눕고 싶고 누우면 자고 싶은 게 인지상정, 장사가 좀 되고 돈 좀 벌었다 싶으면 현실에 안주하고 그럭저럭 프랜차이즈 차려서 대표이사 회장 직함 내놓고 현실 안주하는 사람, 주위에서 많이 본다.


그런데 정사장에겐 도무지 이것이 안 통한다. 오로지 칼국수 직영을 고집한다.
재료의 신선함을 유지하려고 평택 밑으로는 눈길 한 번 주지 않는다.


그러니 각 지역마다 지점을 차리고 싶다며 통사정을 하고 하다못해 정사장이 거절하기 힘든 사람을 중간에 끼워 은근한 압력을 넣기도 하는데 그럴 때마다 한결같은 대답은 황도의 명품 칼국수를 흠집 내는 일이라며 손사래를 치곤 한다.


문제점이 발견되면 그 즉시 주방용 빨간 비닐 걸쳐 입고 원인분석에 나선다.
반죽, 김치, 바지락등, 표준화, 규격화, 균일화가 어렵다는 농산물의 가공, 조리의 최적화를 위해 처음부터 과정을 되짚어보며 결국에는 문제점을 발견 시정해 내고야 만다.


이 정도의 고집 있는 사장이 만드는 음식이라면 불신의 시대라는 먹거리 업계에서 칼국수 하나만은 안심하고 믿고 먹어도 되지 않을까?


사실 그에겐 항상 직원들에게 강조하는 또 하나의 모토가 있다
“칼국수에도 명품이 있습니다.“

명품기준에 어긋나면 가차 없이 반죽이든, 만두든, 김치든 직원들 보는 자리에서 그대로 쓰레기통으로 직행이다.


청담동에 즐비한 명품 브랜드처럼 칼국수에도 ‘황도‘라는 명품이 있다는 자부심, 그런 오기와 패기가 ’황도‘를 오늘의 칼국수 ’지존‘으로 만들지 않았을까!


황도바지락칼국수는 길동, 잠실, 하남, 죽전, 평촌, 평택, 일산 등에 각각 직영매장을 운영하고 있으며, 오는 5월 경기도 화성에 대규모 최고급 매장을 오픈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