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에 참다못해 병원을 찾은 김씨는 전문의로부터 뜻밖의 이야기를 들었다. 바로 류마티스성 관절염이라는 것.
이렇듯 어깨 통증을 오십견이나 가벼운 근육 뭉침으로 생각해서 방치하면, 질병을 키우는 결과를 가져올 수 있다.
오십견으로 착각하는 질환으로는 회전근개 질환을 포함해 여러가지 관절염, 심지어는 종양 및 목디스크가 있다. 이들 질환도 오십견처럼 동통을 동반한 운동제한으로 시작되는 경우가 있기 때문.
하지만 어깨 통증이 지속적으로 발생한다면 전문의의 진찰이 필요하다.
특히 어깨의 통증 및 운동 제한을 보이는 경우 오십견으로 판단할 수 있지만, 순수한 형태의 오십견의 경우 근력 약화나 근위축을 보이는 경우가 없다는 점을 인지해야한다.
이때 어깨 주변의 근육 힘이 약해지거나 근위축이 동반된 경우 다른 병의 가능성이 있으므로 전문의의 진찰이 필요하다.
따라서 임상적으로 오십견 진단이 나와도 방사선 사진을 확인하는 게 좋다. 방사선 촬영을 한 번도 안해 류마티스성 관절염 또는 골성 관절염, 석회성 건초염 등을 쉽게 놓치는 경우가 자주 있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진짜 오십견’은 어떻게 치료할까. 오십견 치료의 가장 기본은 운동이다. 운동치료 없이 약물, 단순 물리치료, 침, 부항 등을 뜨는 것은 효과적이라고 할 수 없다. 치료의 기본은 수동적 관절운동을 통한 관절 운동범위의 회복에 있다. 이를 통해 굳어지고 짧아진 인대를 늘려서 관절을 유연하게 하는 것이 필요한 것이다.
장안동 튼튼병원 김태하원장은 “순수 오십견의 경우 운동치료와 병행해 비스테로이드계 소염진통제를 사용하며, 증상의 호전이 없을 경우 마취 하에 강제 조작, 스테로이드 국소 주입 등을 시행하기도 한다"고 설명했다.
이어 "다양한 비수술 치료에도 반응이 없는 경우 관절경을 이용해 회전근 간극 절제술과 관절막 절개술 등을 시행하며 수술 이후에도 상당 기간 운동치료가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