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체육관광부(장관 유진룡)와 한국문화관광연구원(원장 박광무)은 올해 국민들의 여름철 휴가여행 계획을 파악하기 위하여 국민 1,274명을 대상으로 전화조사를 실시하였다.
한국리서치에서 실시했으며 조사기간은 지난 6월9일부터 12일까지 4일간으로 조사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 ±2.74%이다.
조사 결과 올해 이미 여름휴가를 다녀왔거나(1.9%), 다녀올 가능성이 높거나(20.7%) 여름휴가를 다녀올 계획(32.1%)인 응답자는 54.7%로 나타났다. 이는 작년 동일한 조사 결과(62.7%)와 비교했을 때 8.0%p 낮은 비율이다.
이러한 여름휴가 계획의 감소는 휴가문화의 변화에 기인한 것으로 보인다. 기존에는 7, 8월에 여름휴가가 집중되었다면, 현재는 비싼 휴가비용과 교통체증에 따라 ‘더 일찍, 더 늦게’ 가는 휴가 분산의 분위기가 형성된 것이다.
실제로 「2013년 국민여행실태조사」의 월별 관광여행 이동총량을 보면 2012년 대비 7, 8월의 비중은 줄고, 1, 3, 4, 6, 9, 11월의 이동량은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여행 평균 기간은 3.0일로, 2박 3일(50.7%)이 가장 많았으며, 그 다음으로는 1박 2일(21.7%), 3박 4일(16.7%)의 순서로 나타났다.
이 자료에서는 제주도의 경우, 저비용항공(LCC)이 보편화되면서 성수기와 비수기의 구분이 사라진 4계절 관광지로 자리매김함으로써 여름휴가여행 목적지로서의 비율은 다소 감소한 것으로 분석했다.
한편 정부는 휴가를 연중으로 분산하고, 신규 국내관광 수요를 창출하고자 오는 9월 관광주간(9. 25. ~ 10. 5.)을 추진한다고 밝혔다.
이 기간 동안에는 관광주간에서만 만날 수 있는 다양한 여행 프로그램과 할인 등 각종 여행 편의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휴가를 장려하며 범국민적인 국내여행 분위기를 조성할 계획이다.
<이미지제공=문화체육관광부 보도자료>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