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셜SNS만 봐도.. 오래가는 브랜드·짧은 브랜드 알아요
상권과 입지 선택방법은 입지론적 접근법과 적지론적 접근법이 있다.
김영갑 교수는 “업종(업태)를 정한후 그에 적합한 상권과 입지를 정하는 ‘입지론적 접근법’과 상권과 입지를 정한 후 그에 적합한 업종(업태)를 정하는 ‘적지론적 접근법’이 있다.”라며 “가장 일반적인 상권분석 방법으로 입지론적 방법을 많이 사용한다.”고 소개했다.
또 상권분석 방법에 대해 김 교수는 “상권을 할 때 정성적, 정량적, 소셜분석을 통한 평가방법이 있다.”라며 “이 방법과 함께 평가대상지역 특성기준으로 상가권과 상세권 중심의 분석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지역의 사용자와 대상자, 소비자들을 어떻게 보는가에 따른 분석이 필요하다는 것.
‘상권조사 및 사업타당성 분석’ 3주차 강의를 통해 이같이 소개했다.
상권분석의 정성적 방법에 대해 김 교수는 “주관적 평가법과 체크리스트법, 현황조사법 등이 있다.”라며 “체크리스트 법은 상권에 영향을 주는 요소들에 대한 평가푤르 만들어 상권을 평가하는 방법이며, 현황조사법은 상권을 위해 누구나 쉽게 파악할 수 있는 방법이다.”고 소개했다.
반면, 김 교수가 추천하는 상권분석 방법은 정량적 방법이다.
정량적 방법은 목표고객과 경쟁점포를 대표하는 표본을 추출하여 설문조사와 인터뷰 방식으로 진행하는 상권조사 방법을 설문조사법이라고 한다.
김 교수는 “지역통계분석으로 시장지역성을 기초로 하는 상권추정방법은 통계분석법을 기초로하고 있으며, 상권분석방법으로 가장 많이 사용한다.”라며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 통계시스템 등을 통한 분석을 잘 활용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조언했다.
이외에도 프랜차이즈 가맹사업법상의 예상매출범위 제공과 관련해 김 교수는 ”가맹사업법상에 1.5배의 +- 범위 오차에서 회기식속에 정확도를 높이는 것은 의미가 없다. “라며 ”매출액 예측보다 이익률, 수익률에 대한 분석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상권분석의 또 하나 방법으로 매트릭스 빅데이타 분석 방법으로 ‘소셜분석’방법이 있다. 블로그, 카페, 포탈, 페이스북, 트위터, 기타 SNS 등을 데이터를 수집 분류 분석하는 방법이 있다.
김 교수는 “특정 키워드 검색을 통한 블로그 분석은 대가성 광고식 블로그인지 개인 블로그인지를 분석하고, 블로그속에 카테고리, 가격, 어디에서 등의 면밀하게 도표화하고 최소 10개, 최대 300여개의 블로그분석을 월별, 시간대별로 나눠서 다양한 분류를 만들어 가는 방법이 있다.”고 소개했다.
소셜분석은 키워드분석과 추세분석(트랜드 분석)과 블로그와 SNS의 내용분석, 분류분석법이 있다. 네이버 트랜드 분석이 이런 추세를 지원해주고 있다.
페이스북의 트랜드 분석으로 ‘좋아요’의 친구 팔로우 숫자를 분석해 보면, 마케팅 투자비용 대비 ‘input’와 ‘output'의 차이가 있다.
김 교수는 “창업자 입장에서 소셜메트릭스 방법으로 페이스북 또는 트위터, 카카오스토리를 운영하는가를 보면, 소비자들을 위한 마케팅이 있는지, 가맹점 모집만을 위한 마케팅이 있는지 분석이 가능하다.”라며 “가맹점 모집만을 위한 마케팅 브랜드가 론렁하는 브랜드 될지 의구심이 든다.”고 지적했다.
반면, 김 교수가 추천하는 상권분석 방법은 정량적 방법이다.
정량적 방법은 목표고객과 경쟁점포를 대표하는 표본을 추출하여 설문조사와 인터뷰 방식으로 진행하는 상권조사 방법을 설문조사법이라고 한다.
김 교수는 “지역통계분석으로 시장지역성을 기초로 하는 상권추정방법은 통계분석법을 기초로하고 있으며, 상권분석방법으로 가장 많이 사용한다.”라며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 통계시스템 등을 통한 분석을 잘 활용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조언했다.
이외에도 프랜차이즈 가맹사업법상의 예상매출범위 제공과 관련해 김 교수는 ”가맹사업법상에 1.5배의 +- 범위 오차에서 회기식속에 정확도를 높이는 것은 의미가 없다. “라며 ”매출액 예측보다 이익률, 수익률에 대한 분석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상권분석의 또 하나 방법으로 매트릭스 빅데이타 분석 방법으로 ‘소셜분석’방법이 있다. 블로그, 카페, 포탈, 페이스북, 트위터, 기타 SNS 등을 데이터를 수집 분류 분석하는 방법이 있다.
김 교수는 “특정 키워드 검색을 통한 블로그 분석은 대가성 광고식 블로그인지 개인 블로그인지를 분석하고, 블로그속에 카테고리, 가격, 어디에서 등의 면밀하게 도표화하고 최소 10개, 최대 300여개의 블로그분석을 월별, 시간대별로 나눠서 다양한 분류를 만들어 가는 방법이 있다.”고 소개했다.
소셜분석은 키워드분석과 추세분석(트랜드 분석)과 블로그와 SNS의 내용분석, 분류분석법이 있다. 네이버 트랜드 분석이 이런 추세를 지원해주고 있다.
페이스북의 트랜드 분석으로 ‘좋아요’의 친구 팔로우 숫자를 분석해 보면, 마케팅 투자비용 대비 ‘input’와 ‘output'의 차이가 있다.
김 교수는 “창업자 입장에서 소셜메트릭스 방법으로 페이스북 또는 트위터, 카카오스토리를 운영하는가를 보면, 소비자들을 위한 마케팅이 있는지, 가맹점 모집만을 위한 마케팅이 있는지 분석이 가능하다.”라며 “가맹점 모집만을 위한 마케팅 브랜드가 론렁하는 브랜드 될지 의구심이 든다.”고 지적했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