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공무원노조(전공노·왼쪽)와 대한민국공무원노동조합총연맹(공노총) 집회현장 /사진=뉴스1

'공무원연금 개혁'

박근혜 대통령이 29일 시정연설을 통해 공무원연금 개혁 의지를 드러내자 공무원계의 양대 노조인 전국공무원노조(전공노)와 대한민국공무원노동조합총연맹(공노총)이 강한 반발을 하고 나섰다.

전공노 부산본부는 지난 27일 정치후원금 기탁거부를 결의하고 전체 조합원에게 동참을 촉구했다고 30일 밝혔다.


또한 전공노는 지난 28일 집행부회의를 열어 정치후원금 기탁거부 운동을 전국에서 진행하기로 결의했으며 다음달 6, 7일쯤 공식입장을 발표할 계획이라고 부산지역본부 관계자는 전했다.

부산의 한 공무원은 “6급 이상 공무원은 해마다 11월에 반강제적으로 세액공제를 받는 10만원씩의 정치후원금을 냈다”며 “다수당인 새누리당이 가장 많은 혜택을 보는 일을 왜 하겠느냐”고 목소리를 높였다.

전공노 보다 온건한 입장을 표명하는 공노총도 29일 오전 서울 국회의사당 정문 앞에서 ‘공무원연금 폐지 및 국민연금과의 완전통합 선언’ 기자회견을 개최했다.


공노총은 기자회견을 통해 “그간 공노총은 사회적 협의체 구성을 줄기차게 요구해 왔음에도 새누리당은 이해당사자와의 어떠한 협의도 없이 개혁안에 대해 일방적인 발표를 했다”며 “결국 독재정치의 전형적인 모습을 보여줌으로써 100만 공무원은 물론 야당이라는 정치 파트너, 5000만 국민의 염원 따위는 전혀 안중에 없음을 만천하에 포고한 것이다”고 밝혔다.

송지영 수석부위원장 당선인은 “산적한 민생법안 하나 처리 못하면서 공무원연금법 개정하나에만 혈안이 돼있다”며 “양심 있는 국회로 새롭게 태어나라”고 강도 높게 비판했다.

공노총은 11월 1일 공무원 총궐기대회를 통해 공적연금 복원의 의지를 알릴 예정이다.

공무연연금 개혁안에 대해 공무원계 양대 노조가 반발하고 나서면서 향후 개혁안 처리에 귀추가 주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