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랑스 테러’ ‘프랑스 주간지 테러’. 사진은 기사내용과 무관. /자료사진=이미지투데이
‘프랑스 테러’ ‘프랑스 주간지 테러’

프랑스 주간지 ‘샤를리 엡도’의 사무실에 침입해 총으로 12명을 숨지게 한 용의자 3명이 군사 훈련을 받은 전문가라는 의견이 제기됐다.

7일(현지시간) 영국 일간지 가디언은 “용의자들이 공격 내내 조용했고, 무차별 난사가 아닌 1~2발 총격을 가했던 점, 경찰 차량 앞유리에 탄알 구멍의 패턴 등은 훈련받았다는 것을 암시한다”고 한 전문가들의 분석을 토대로 밝혔다.


당시 목격자들의 증언에 따르면, 용의자들은 검은 두건을 쓰고 샤를리 엡도 사무실에 들이 닥쳤으며 총을 몇 차례 연발했을 뿐 난사하지 않았고, 경찰과 맞닥뜨렸을 때도 당황하지 않고 기민하게 도주했다.

또 영국 일간 파이낸셜타임스도 “용의자들은 팀으로 움직였고, 각자의 포지션을 맡았다”며 “이는 ‘외로운 늑대(자생적 테러리스트)’의 범행이라기 보다 외부 테러리스트 조직의 도움을 받았다는 것을 암시한다”고 강조했다.

토니 셰퍼 전 미군 중령은 가디언지를 통해 “그들은 매우 전문적이고 잘 조직돼 있으며, 시간을 잘 맞췄다. 군사 훈련을 받지 않고는 해낼 수 없다”고 밝혀 군사 훈련을 받았을 가능성에 무게를 실었다.


현재 자수한 용의자 1명은 예맨의 알카에다 조직원으로 알려졌으며 현지 경찰은 예멘 알카에다 지부인 AQAP를 염두에 두고 있다. AQAP는 10년 전 사우디아라비아에서 추방된 뒤 끊임없이 서방에 대한 공격을 노려왔다.

그러나 AQAP는 자살 폭탄 테러를 주로하며 이전에 프랑스를 공격한 전례가 없다는 점에서 AQAP의 직접적 공격 지시 가능성은 낮은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전 세계에는 테러 희생자들에 대한 추모 물결이 번지고 있다. 유럽인들은 프랑스뿐 아니라 영국·스페인·스위스·이탈리아·벨기에 등지에서 도 희생자들을 추모하고, 언론 자유를 옹호하는 한목소리를 냈다.

트위터와 페이스북 등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에서는 출판사의 이름을 딴 ‘내가 샤를리다’(Je suis Charlie) 슬로건이 확산되며 파리에서 최소 3만5000명이 운집해 추모 집회를 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