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처럼 활동적이어야 할 시기에 앉아서 공부와 다른 병행학습으로 인해서 몸건강을 위한 시간도 모자랄 판이다. 이에 척추의 건강을 간과하는 학부모들이 많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이 지난 2011년부터 3년 간 척추측만증 환자를 분석한 자료에 따르면, 전체 환자의 약 46%가 10대 청소년으로 나타났다. 2013년을 기준으로 남자 환자 중 47.9%, 여자 환자 중 45%가 10세~19세 사이로 청소년기 자녀들의 척추건강을 간과해서는 안된다는 것으로 나타난 것.
척추가 잘못 된 것은 자가적으로 진단할 수 있는 방법은 정면으로 봤을 때 정상 척추는 일직선인 반면 ‘척추측만증’의 척추는 S자나 C자로 휘어져 있으면 척추측만증을 의심해 볼 수 있다.
이외에도 자녀의 척추 건강을 위해 자녀가 한쪽으로 치우친 자세로 필기를 하거나 똑바로 서있을 때 양쪽 어깨, 가슴 선의 높이가 비대칭이라면 척추측만증을 의심해야 한다. 이 외에도 만성 허리 통증, 하체 비만, 치마나 바지가 한쪽으로 돌아가는 경우 등을 체크해 볼 필요가 있다.
몸통의 균형을 유지하고 척수신경을 보호하는 척추가 휘어진다면 장기적으로 몸의 성장이나 집중력에 영향을 미칠 수 있어. 척추의 휘어지는 각도가 커지면 호흡 곤란 등의 문제도 발생 할 수 있어 빠른 치료가 필요하다.
척추측만증의 종류로는 선천성 척추측만증, 원인을 알 수 없는 특발성 척추측만증 등이 있다. 특히, 척추측만증을 앓는 청소년 환자들을 특발성 척추측만증으로 구분하는데 그 원인은 불분명 하지만 청소년기의 급격한 성장이 척추에 영향을 끼친것으로 보여진다. 이 질환을 앓는 환자들은 특별한 증상 없이 척추의 기형이나 미세한 요통을 느껴 병원을 찾는 경우가 많다.
동탄시티병원 신재흥병원장은 “척추후만증, 척추 부위 종양 등으로 인해 통증을 느낄 수 있다고 모든 통증의 증상이 원인이 척추측만의 원인이 된다고 판단해서는 안 된다”며 “특발성 척추측만증은 뚜렷하게 나타나는 증상이 없기 때문에 병원에서의 정확한 진단과 치료를 받는 것이 중요하다.”고 설명했다.
척추측만증의 치료는 척추의 휘어진 정도, 환자의 성장 가능성 등에 따라 결정된다. 치료법으로는 비수술적 치료인 보조기를 착용해 비대칭적인 척추를 맞춰나가는 것이고 이와 같은 방법으로 질환이 나아지지 않는다면 수술적 치료를 하는 것이 필요하다. 수술적 치료는 금속 고정물로 휘어진 척추를 교정한 후 이를 유지하는 것이다.
신재흥 병원장은 “척추측만증의 치료 목적은 척추의 휘어짐을 막아 신체 균형을 올바르게 하는 것이다”며 “적절한 시기에 치료가 이루어지지 않는다면 더 큰 기형을 초래할 수 있기 때문에 척추측만증 초기 증세가 보인다면 빠르고 정확한 진단과 치료를 받아보는 것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