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지지율’ ‘박근혜 문재인 김무성’ 박근혜 대통령(가운데)이 새누리당 김무성 대표(왼쪽), 새정치민주연합 문재인 대표와 회동을 갖고 '경제' 분야 공방을 벌였다. /사진=뉴스1
‘박근혜 지지율’ ‘박근혜 문재인 김무성’

박근혜 대통령의 지지율이 40%대를 회복해 3자 회동 후의 추이가 주목되고 있다.

여론조사 전문기관 리얼미터는 지난 9~13일까지 집계 결과, 박근혜 대통령의 취임 107주차 국정행 지지도(긍정평가)가 42.8%를 기록했다고 밝혔다.

‘국정수행을 잘못하고 있다’는 부정평가는 4.4%포인트 하락한 50.2%(매우 잘못함 31.4%, 잘못하는 편 18.8%)로 나타났다. 


이는 중동순방 귀국과 리퍼트 미국대사 피습 사건 이후 보수층 지지가 결집된 것으로 분석된다.

또 지난 17일 박 대통령이 첫 3자회담을 열어 ‘경제’ 분야를 논의하통 이미지에서 ‘소통’의 모습으로 전환하는 계가 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그러나 이날동에서 박 대통령과 문재인 새정치민주연합 대표는 ‘경제정책 실패’와 ‘최저임금 인상’과 ‘전월셋값 폭등’에 대해 대립각을 세웠다.

문 대표는 “경제 민주화와 복지공약은 파기됐다. 재벌과 수출대기업 중심의 낡은 성장 정책으로 중산층이 무너졌고 양극화가 극심해졌다”며 “총체적인 위기”라고 비판했다.


그러나 박 대통령은 “현 정부는 역대 어느 정부보다 경제 민주화 관련 법안을 많이 입법시킨 정부”라며 “하도급업체와 납품업체, 가맹점주 등 경제적 약자의 권리를 강화하는 제도 개선을 마무리했다”고 맞섰다.

두 사람은 최저임금 인상과 전월셋값 폭등 등에 대해서도 이견을 보였다.

문 대표는 최저임금 두자릿수 인상과 일부 지방자치단체에서 시행하는 생활임금(최저임금보다 높은 수준의 임금을 지급하는 제도)의 확대를 촉구했고, 박 대통령은 “생활임금을 법제화하기보다는 최저임금을 점진적으로 인상해야 한다”고 응수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