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장인 P씨(37세)는 조기 축구 회원으로 주말이면 늘 축구를 하러 간다. 지난 주말 아침에도 어김 없이 축구를 하던 그는 공격 중 상대편 수비와 부딪쳤다. 순간 넘어지지 않으려고 오른 발에 힘을 주며 땅을 딛는 순간 쥐난 것 같은 느낌이 들었다.
이후 다리가 당기고 일어나기가 힘들어 단순히 근육이 놀란 줄 알았는데 다리를 땅에 딛을 수 없을 정도로 심한 통증이 계속됐다. 월요일 아픈 다리를 끌고 병원을 찾은 P씨는 비복근 파열이라는 진단을 받았고 현재 재활 치료 중에 있다.

종아리 근육 파열은 비복근 파열이라고도 하며 갑자기 방향을 바꾸거나 과도한 힘이 들어갈 때 종아리 근육이 찢어지면서 손상이 생기는 것을 말한다. 일상 생활보다 축구, 야구 등 운동 시 발생하기 쉽다.

운동 선수에게 주로 발병하지만 갑작스러운 움직임 특히 점프를 하거나 급작스럽게 달리기를 시도할 때 근육 손상의 위험이 커 주의가 필요하다.

이와 관련해 구로예스병원 황은천 원장은 “스트레칭이나 몸풀기와 상관없이 비복근 파열은 갑작스럽게 근육을 사용하게 되면서 생기는 질환으로 예방보다는 순간순간 갑자기 움직임을 가질 때 근육에 무리가 가지 않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며 “준비 운동을 철저히 하고 근육의 긴장이나 손상이 발생하지 않도록 무리한 움직임을 하지 않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종아리 근육 파열은 뚜둑 소리가 난 뒤 일시적으로 움직이기 힘들어지는 것이 특징이다. 손상 직후에는 종아리 근육이 심하게 당기기 때문에 쥐가 나거나 단순 근육 긴장 등으로 생각하기 쉽지만 시간이 지나도 통증이 계속되고 잘 걸을 수 없다면 근육 파열을 의심해 봐야 한다. 종아리 근육이 손상되면 무릎이나 발목을 굽히는 데 지장을 주기에 보행이 어려워지기 때문.

위와 같은 증상이 나타나면 바로 얼음찜질로 근육이 찢어져 생길 수 있는 내부 출혈을 지혈하는 것이 필요하고, 그 뒤로 손상 된 근육 부위를 테이핑 등으로 고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파열 정도가 심하면 부상 부위에 피멍이 들거나 부상 부위인 발목 부분으로 피가 고일 수 있고, 심하지 않은 경우에는 얼음 찜질 후에 온찜질로 근육을 풀어주는 것이 좋다. 누운 상태에서 다리 밑에 쿠션이나 베개 등을 놓고 다리를 그 위에 올려 두는 것도 빠른 회복에 도움이 된다.

황은천 원장은 “근육 파열 후 회복 기간은 환자 상태에 따라 다르나 보통 1-2주 정도 걸리고 길게는 두달까지 휴식이 필요하다”며 “초기에는 움직임을 최소화해야 하지만 완전히 회복한 후 걷거나 운동 할 때 근육의 제한이 생기는 것을 막기 위해서는 통증이 발생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꾸준히 스트레칭을 해야한다”고 조언했다.

예방 및 치료 중 도움이 되는 스트레칭으로는 바닥에 다리를 펴고 앉아 무릎을 굽히지 않은 상태에서 발목을 몸쪽으로 당겨주거나 한쪽 다리를 뒤로 한 채 벽을 미는 동작이 있다. 만약 한쪽 다리를 다친 상태라면 통증이 있는 다리를 뒤로 빼고 무릎을 일자로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미지제공=구로예스병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