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상급식 중단’ 지난 달 18일 오전 경남 창원시 경남도청 정문 앞에서 양산시 36개 초등학교, 14개 중학교, 11개 고등학교 학부모들이 무상급식 유지를 촉구하는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사진=뉴스1
‘무상급식 중단’경남도의 무상급식이 1일 유상급식으로 전환되자 교사들을 비롯해 도민들과 사회단체들이 크게 반발하고 나섰다.
전교조 경남지부는 1일 경남도청 프레스센터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무상급식 중단을 규탄하는 교사 선언'을 했다.
전교조는 도내 1146명의 교사가 서명한 선언문에서 “홍 지사가 비교육적이고 무책임하게 무상급식 중단 사태를 일으킨 것을 규탄한다”며 “교사들은 국가가 책임져야 할 의무사항인 급식을 갖고 대권 도전 등 정치적 야욕을 앞세운 홍준표 경남도지사의 행태에 분노를 금할 수 없다”고 강조했다.
일부 전교조 교사들은 점심을 먹지 않고 빈 식판 위에 ‘아이들의 소중한 밥상을 지켜주세요’, ‘급식도 교육입니다. 의무교육, 의무급식으로’ 등이 적힌 종이를 두는 등 점심 단식을 이어간다는 입장이다.
또 시민단체는 홍준표 경남도지사의 골프논란에 대해 지적했다.
마창진환경운동연합, 마창진참여자치시민연대, 사단법인 경남지방자치센터, 한국YMCA 경남협의회 등 4개 단체는 창원 정우상가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경남도가 무상급식에 지원하려던 예산으로 시행하려는 서민 자녀 교육지원 사업이 적법하게 추진되고 있는지, 관련 조례가 법률에 명시된 절차를 위반했는지, 경남교육청 사업과 중복되지 않는지 등을 감사원이 직접 확인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친환경 무상급식 지키기 경남운동본부도 기자회견에서 “지자체의 무상급식 지원 중단에 참으로 큰 자괴감과 안타까움을 느낀다”며 “무상급식이 실현될 때까지 서민 자녀 교육지원 조례 전면개정 주민 발의, 홍준표 지사와 기초의원 주민 소환 등을 추진하며 지속적으로 싸워나가겠다”고 밝혔다.
한편, 오늘부터 그동안 무상급식 혜택을 받았던 756개 학교(전체 학교 990개) 28만5000여명 중 21만8000여명의 학생이 급식비를 내고 점심을 먹어야 한다. 도내 전체 학생 44만7000명의 14.9%를 뺀 나머지는 돈을 내고 밥을 먹게 되는 셈이다.
반면, 6만6000여명의 저소득층 자녀와 특수학교 학생은 그대로 무상급식 혜택이 유지돼, 이같은 ‘선별적 무상급식’이 아이들에게 상처가 될 수 있다는 지적이 일고 있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