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역삼역 근처에 있는 스테이크 캐주얼 레스토랑인 ‘리즈스테이크갤러리’ 매장, 이곳은 점심시간이 되면 주변 직장인들이 스테이크를 먹기 위해 몰려든다.

점심 메뉴로는 조금 무거워 보이는 스테이크를 편하고 가볍게 먹을 수 있도록 제공하는 것이 이 레스토랑의 경쟁력이다.


장기불황에 ‘좀 더 싸고 더 푸짐하고 맛있게’라는 소비자 육구가 더 강해지면서 시의 적절하게 등장한 브랜드다.

프랜차이즈 레스토랑 '리즈스테이크갤러리'는 대중적 상품과 가격을 내세운다. 7,900원짜리 실속형 스테이크 전문점을 표방한다. 스테이크와 쌀국수, 필라프(볶음밥)가 주력메뉴다. 스테이크 가격대는 7900~9900원(점심) 선. 2900원을 추가하면 미니 쌀국수까지 맛볼 수 있다.
그 외에 캐주얼 레스토랑에 어울리는 다양한 메뉴를 저렴한 가격에 맛볼 수 있다. 하우스 와인도 반값인 3,500원에 판매한다. 인테리어는 캐주얼하면서도 은은한 고급스러움을 더했다.

불황이 장기화되면서 연인, 친구, 가족 단위로 부담 없이 방문할 수 있는 캐쥬얼 레스토랑이 인기다. 가격적으로 부담스러운 패밀리 레스토랑보다 가격이 저렴하면서도 소비자들의 다양한 의견들이 반영된 메뉴와 맛의 퀄리티가 높기 때문이다.

캐쥬얼 레스토랑의 출발점인 노리타부터 대구에서 시작해 서울 강남에만 2개의 매장을 보유한 미즈 컨테이너, 서가앤쿡까지 다양하게 확산되고 있다.


이들 캐주얼 레스토랑 트렌드를 주도하고 있는 원플레이트 메뉴의 선도자인 ‘리즈스테이크갤러리’는 스테이크 하우스의 DNA를 물려받아 대중적인 가격으로 프랜차이즈 외식시장을 공략하고 있다.

그 외에도 다양한 캐쥬얼 레스토랑들이 생겨나면서 소비자들의 입을 만족시키고 있는 것이 최근의 레스토랑 트렌드다. 레스토랑 트렌드가 바뀌는 이유는 우리나라 사람들의 생활수준이 높아지고 경제성장이 더뎌지는 것과 관련이 있다.

불과 몇 년 전만 하더라도 우리나라에서 스테이크 전문점은 특별한 날을 맞이하는 이들이 고급스러운 분위기에서 기분을 내는 장소였다. 그에 따라 대부분의 레스토랑도 이에 맞춰 고급스러운 인테리어에 값비싼 스테이크 등 고가의 메뉴들을 판매하였다.

또한 이러한 서구적인 외식문화가 마치 트렌드처럼 받아들여지면서 품질과 가격은 무시하고 소비자들은 자존적 욕구를 만족시키는 데에 급급했다. 하지만 불황에 소비자들은 부담스러운 레스토랑을 마음 편하게 찾아다닐 수 없다.

소비자들이 점점 똑똑해지면서 합리적 가격의 외식 브랜드를 원하게 되었고 이러한 소비 트렌드는 외국계 패밀리 레스토랑의 빙하기를 맞게 했다.

리즈스테이크갤러리의 본사인 (주)오니규 이명훈 회장은 “스테이크를 삼겹살보다 더 저렴한 가격으로 제공하는데, 이는 부담 없이 스테이크를 즐기려는 수요가 점점 늘고 있는 점을 고려했기 때문”이라며, “격식을 차리고 먹는 메뉴가 아니라 언제든지 저렴하고 간편하게 먹을 수 있도록 기존 스테이크 품질을 유지하면서도 가격의 거품을 빼는데 중점을 뒀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