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우조선해양 을지로 다동 사옥. /사진=머니위크 DB
대우조선해양의 정상화 지원에 제동이 걸렸다. 금융당국과 채권은행은 대우조선해양 정상화 지원계획을 전면 보류하고 대우조선의 고강도 자구계획과 이에 대한 노사의 동의서를 먼저 받기로 했다.
23일 금융권에 따르면 지난 22일 청와대에서 최경환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주재로 열린 비공개 경제금융점검회의(서별관회의)에서 대우조선의 지원에 대해 이같은 결정이 내려진 것으로 전해진다. 회의에는 임종룡 금융위원장, 진웅섭 금융감독원장, 홍기택 KDB산업은행 회장 등이 참석했다.
이들이 이같은 결정을 한 이유는 실사결과 재무상태가 생각보다 심각해 회사측의 자구계획과 노조의 동의 없이는 금융권의 자금 수혈이 밑빠진 독에 물붓기가 될 수 있기 때문이다.
삼정회계법인의 실사결과에 따르면 대우조선은 상반기 3조2000억원, 하반기 2조1000억원을 합쳐 올해 총 5조3000억원의 적자(영업손실)를 낼 것으로 예상된다. 해양플랜트 저가 수주에 따른 손실(3조원)과 선박 건조 원가 상승분(1조9000억원) 등을 합친 금액이다.
이 정도 손실에 대한 지원을 받으려면 대우조선 임직원이 고통 분담을 먼저 약속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입장은 조만간 대우조선에 정식으로 전달될 예정이다. 경영정상화방안은 대우조선 노조의 자구계획 동의서를 받은 뒤 확정하기로 했다.
앞서 채권단은 대우조선의 손실을 메우고 부채비율을 낮출 수 있도록 3조원 가량의 신규대출과 1조원의 출자전환 등을 경영정상화방안으로 내놨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