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익 주관사인 미국 ETS(Educational Testing Service)는 5일 기자 설명회를 통해 토익 시험의 일부 문제 유형을 업데이트한다고 발표했다.
업데이트 된 토익은 2016년 5월 29일 정기시험에서 첫 시행된다.

토익은 1979년 처음 시행되었으며, 지난 2006년 사진 문항 축소, 다양한 국가의 억양 등으로 한 차례 업데이트된 바 있다.

이번에 다시 업데이트되는 토익 문제 유형은 영어의 변화뿐 아니라 전 세계인의 일상 생활 및 비즈니스 환경에서 통용되는 의사소통 방식을 반영하게 된다.

ETS에서 토익 프로그램을 총괄하는 펑 유(Feng Yu, Executive Director) 박사는, “시대의 흐름에 따라 영어를 말하고 쓰는 방식이 변하므로 시험 문제도 바뀌어야 한다.”고 말했다. 펑 유 박사는 “현재 통용되는 언어 사용의 실태를 적절하게 반영하고 개인이 갖추어야 할 언어 능력을 정확히 평가할 수 있도록 TOEIC 시험 일부를 업데이트하게 되었다”고 밝혔다.


이번 업데이트로 TOEIC 일부 문제의 유형이 변경되지만, ETS는 수 차례 연구조사를 실시해 업데이트 이전과 이후의 TOEIC 성적에 차이가 없도록 했다고 밝혔다. 또한 시험 난이도 및 전체 시험 시간 역시 종전과 동일하게 유지된다.

다음은 ETS가 밝힌 변경상항이다.

듣기평가(Listening Comprehension)
○ Part 1, 2의 문항 수가 줄어들고 Part 3의 문항 수가 늘어남
○ 일부 대화문에서 말의 길이가 짧아지고 대화를 주고 받는 횟수가 늘어남
○ 일부 대화문에는 세 명 이상의 화자(Speaker)가 등장함
○ 일부 대화문에 Elisions(생략형: going to  gonna 등), Fragments(문장의 일부: yes, in a minute; down the hall; could you? 등)이 포함됨
○ 대화문 또는 설명문과 시각 정보(도표, 그래픽 등)간 연관 관계를 파악하는 유형 출제
○ 대화문 또는 설명문에서 맥락 상 화자의 의도를 묻는 유형 출제


읽기평가(Reading Comprehension)
○ Part 5의 문항 수가 줄고 Part 6, 7의 문항 수가 늘어남
○ 지문 흐름의 이해도를 묻는 신유형 2가지 출제
- 지문 중간에 들어갈 맥락에 맞는 문장 찾기
- 주어진 문장이 지문의 어느 위치에 들어갈지 찾기
○ 다수가 참여하는 문자 메시지, 메신저 대화, 온라인 채팅 대화문 출제
○ 세 개의 연계 지문에 대한 이해도를 묻는 문항 출제
○ 문맥상 주어진 단어들에 대한 이해도를 묻는 유형 출제

더불어 성적표에는 듣기 평가 영역의 세부 결과(Abilities Measured – 대화문을 듣고 화자의 의도나 암시하는 바를 이해하기)가 한가지 추가되며, 수험자 및 성적 활용 기관에 해당 정보를 제공하게 된다.

단 듣기 평가의 세부 결과에 추가되는 내용은 수험자 개인의 전체 성적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또한 업데이트된 시험에 응시한 경우라도 토익 성적은 업데이트 이전의 성적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2016 新 TOEIC 샘플 문제를 포함한 자세한 시험 관련 정보는 www.toeic.co.kr에서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이번 설명회를 진행한 수잔 하인즈 ETS 시니어 디렉터는 예문으로 볼때 어려워진 것 아니냐는 질문에 "새로운 유형은 언제나 어렵게 느껴지기 마련"이라고 답변했다.

또한 바뀌는 시험으로 인해 시험 수요가 늘어날 것에 대비해 시험횟수를 늘릴 생각이 없느냐는 질문에 YBM / 한국TOEIC위원회의 관계자는 "현재 내년 일정까지 공개된 상황이며 시험을 추가할 예정은 없는 것으로 안다"고 답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