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부터 공인인증서 본인 인증에 '지문'이 사용된다.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은 내년 1월부터 공인인증서 본인 인증방식을 비밀번호 입력에서 스마트폰을 이용한 지문인식으로 바꾼다고 10일 밝혔다. KISA가 개발한 기술을 바탕으로 지문인식 센서가 있는 스마트폰에 지문을 저장해 PC와 스마트폰을 연계해 인증하는 방식이다. 이 방법을 이용하면 액티브X보안 프로그램을 설치할 필요가 없게 된다.
이와 관련해 노정태 사회평론가는 이날 자신의 트위터를 통해 "한국식 금융 인증 제도의 본질은 '책임 떠넘기기'에 있다"며 "금융기관이 져야 할 금융사고 방지 책임을 개인에게 떠넘기기 위해 공인인증서가 있는 것이고, 그러한 정책의 연장선상에서 보면 아이핀이니 지금 도입하려는 지문인식이니 뭐니 다 잘 설명된다"고 말했다.
노 평론가는 "물론 공인인증서가 기술적으로 수행하는 역할이 없는 게 아니다"라면서 "하지만 지금은 다른 방법이 있는데도 굳이 그 방식을 고집한다. 왜냐, 그 불편한 제도가 있음으로써 높으신 분들 자리가 몇 개 생기고, 은행이나 금융사들이 금융사고의 책임을 안 지게 되니까"라고 덧붙였다.
/자료사진=이미지투데이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