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군 탄저균’
오산기지 탄저균 배송사건에 대한 한·미 공동조사 결과 주한미군이 지난 2009년부터 지난해까지 모두 15차례에 걸쳐 사균화된 탄저균을 반입했던 것으로 밝혀졌다. 올해 오산으로 배송된 것까지 합치면 모두 16차례 탄저균이 반입된 것이다.
국방부는 지난 7월11일 구성된 오산기지 탄저균 배달사건을 조사하기 위한 한·미합동실무단 운영결과를 17일 발표했다.
발표에 따르면 주한미군은 2009년부터 지난해까지 모두 15차례 사균화된 탄저균 검사용 샘플을 반입해 각종 생물학전 대비 훈련과 실험에 사용했다. 올해 오산으로 배송된 것까지 합치면 모두 16차례 탄저균이 반입된 것이다. 사용된 샘플은 모두 폐기 완료된 것으로 확인했다고 국방부는 밝혔다.
다만 이는 앞서 주한미군사령부가 지난 5월 보도자료를 통해 탄저균 표본 실험 훈련은 올해 오산기지에서 처음 진행됐다고 밝힌 것과 큰 차이가 있는 결과다.
한·미 양국은 미 국방부의 탄저균 사건에 대한 대책 마련과는 별도로 유사사고의 재발을 막기 위해 주한미군이 반입하는 검사용 샘플에 대한 양국 간 통보 및 관리절차 정립이 필요하다고 판단했다. 이에 따라 양국은 주한미군의 생물학 검사용 샘플 반입 절차와 관련한 합의 권고안을 마련했다.
‘미군 탄저균’ 장경수 국방부 정책기획관(왼쪽)과 주한미군사령부 헤드룬드 기획참모부장이 17일 오후 서울 용산구 주한미군기지에서 '주한미군 오산기지 탄저균 배달사고 관련 한미 합동실무단 운영 결과' 발표를 하고 있다. /사진=뉴스1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