앞서 새누리당 김무성 대표는 지난 16일 공관위에서 넘어온 공천안 중 7곳의 단수추천지역과 1곳의 여성우선추천지역에 대해 의결할 수 없다며 '보류'를 선언했다. 그러면서 김 대표는 항의의 표시로 17일 예정된 최고위를 전격 취소했다.
이에 친박(친 박근혜)계 최고위원들은 김 대표를 제외시킨 채 별도의 긴급최고위 간담회를 열어 "김 대표가 공관위 독립성 보장 약속을 깼다"며 공식 사과를 요구하며 맞불을 놓았다. 김 대표는 "사과할 일이 아니다"라면서도 18일 임시 최고위 개최에는 동의하면서 일단 충돌을 미뤘다.
친박계는 오는 24일 총선 후보등록을 코앞에 둔 마당에 더 이상 공천의결을 미룰 수 없다는 입장으로 이날 최고위에서 반드시 공천 결과를 의결해야 한다고 주장했고, 김 대표는 비박(비 박근혜)계 현역들이 대량 탈락한 공천 결과를 무조건 의결할 수 없다며 버티기에 나섰다. 특히 김 대표는 이날 최고위에서 친박계 최고위원들의 사과 요구에 대해 거부한 것으로 전해졌다.
한편 친박계는 이날 유 의원 공천 결정을 공천관리위원회에서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친박(친 박근혜)계 맏형 서청원 최고위원은 회의직후 기자들과 만나 "유 의원 문제는 공심위에서 할 일이지 최고위에서 이야기할 문제가 아니다"라고 말했다.
새누리당 김무성 대표가 18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비공개 최고위원회의가 정회된 뒤 굳은 얼굴로 자리를 뜨고 있다. /사진=뉴스1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