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중공업 등 국내 중대형 9개 조선사의 조선 및 해양 관련 인력은 2014년 20만4635명에 달했으나, 지난해 19만5000여명 수준으로 떨어진 것으로 집계됐다. 이들 조선사와 관련된 1, 2차 협력업체 인력이 지난해 5000여명 감소한 것을 고려하면 지난해에만 조선업계에서만 1만5000여명의 인력이 감축된 것이다. 조선 관련 임시직과 일용직이 포함된 수치다.
과거 국내 조선업계 인력은 호황에 힘입어 급증했다. ▲2000년 7만9000여명 ▲2002년 9만4000여명 ▲2005년 10만4000여명 ▲2007년 14만3000여명 ▲2008년 15만1000여명 ▲2012년 16만9000여명 ▲2013년 18만3022명 등으로 점차 증가했다.
그러나 지난해 최악의 적자를 내며 경영난에 몰리자 인력 증가세가 처음으로 꺾였다. 대우조선해양은 지난해 부장급과 전문위원, 수석전문위원 등 고직급자 1300여명을 대상으로 희망퇴직 또는 권고사직을 단행해 30%의 인력을 정리했다.
현대중공업은 지난해 과장급 이상 사무직과 여직원 1300여명을 감축했다. 15년 이상 장기근속 여사원 가운데 희망자에 한해 1주일간 희망퇴직 신청을 받기도 했다. 삼성중공업도 임원 30% 이상 감축에 임직원 수시 희망퇴직을 실시했다.
올해 들어 1분기에 선박 수주가 조선업계 통틀어 9척에 그치면서 인력 조정이 더 심해지고 있다. 전보다 일감이 10분의1로 줄었기 때문이다.
현대중공업은 최근 전체 인원 2만7000여명 중 10% 이상을 희망퇴직이나 권고사직 형식으로 줄이는 내용의 구조조정 방안을 조만간 실시할 것으로 알려졌다. 삼성중공업도 수시 희망퇴직을 계속 받고 있으며 대우조선 또한 해양플랜트 설계 인력을 서울 본사에서 거제 조선소를 내려보내는 등 인력 재배치 등을 통해 사실상 인력 감축 수순을 밟고 있다. 대우조선은 간접직(지원인력)에 대한 분사 및 아웃소싱도 검토하고 있다.
대우조선 사내 하청업체의 경우 지난해 말에서 3월 말까지 계약 해지 등 폐업한 업체만 16개사에 달했다. 이로 인해 감축된 인원만 3400여명에 이른다.
현대중공업 울산공장. /자료사진=머니투데이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