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 김종인 비상대책위원회 대표(왼쪽)와 국민의당 차기 원내대표로 추대된 박지원 의원. /자료사진=뉴스1

더불어민주당 김종인 비상대책위원회 대표와 국민의당 박지원 차기 원내대표가 4·13총선 이후 박 의원의 원내대표 합의 추대론이 거론되던 지난달 22일 전격 회동한 것으로 뒤늦게 알려졌다. 김종인 대표와 박지원 의원의 야권 내 협력에 대한 의견이 오간 게 아니냐는 관측이 나온다.
특히 김 대표는 이 자리에서 박 의원에게 "정도로 가자"고 말한 것으로 전해져 국회의장 선출을 놓고 의견을 교환한 것이 아니냐는 해석이 나온다. 국회의장은 관례상 원내 제1당에서 맡아왔으나, 새누리당이 탈당한 의원을 복당시킬 경우 제1당이 바뀌어 새누리당에서 국회의장을 맡아야 한다는 목소리가 여권에서 나온 터였다. 이에 국민의당은 지난 4·13총선 직후 "총선 민심"에 따라 국회의장은 더민주에서 맡아야 한다는 입장을 밝혀왔다.

한편 박 의원이 최근 대통령과의 협력이 가능하다면 국회의장은 새누리당에서 맡을 수 있다는 발언을 해 야권 내 비판이 일고 있다. 박 의원은 지난달 30일 자신의 페이스북을 통해 "국회의장은 대통령이 임명하지도 않으며 (국회의장 선출은) 국회의 고유 권한”이라며 “만약 대통령께서 경제정책 실패를 솔직하게 인정하고 국민과 국회의 협력을 요구한다면 아직 국회의장과 관련된 논의 등이 정해진 것이 없기에 모든 가능성을 열어 두자는 원칙을 말한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