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아청소년 암환자. /자료사진=이미지투데이
분당서울대병원은 오늘(21일) 소아청소년과 최형수·양혜란 교수 연구팀이 소아청소년암 환자에서 항암치료 후 골밀도 수치가 낮아진다는 사실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연구팀은 2012년 4월부터 2014년 10월까지 약 2년6개월동안 분당서울대병원에서 소아청소년암 치료를 받은 환자 30명(평균나이 11.2세)과 건강한 소아청소년 30명(대조군)을 선정했다. 이들을 대상으로 백혈병·뇌종양·신경모세포종·골육종 및 유잉육종(뼈에 생기는 악성종양 중 하나) 등의 소아청소년암 환자가 항암치료를 시작한 첫 1년 동안의 골밀도 변화정도를 측정했다.
연구결과 백혈병과 같은 혈액암 및 뇌종양과 같은 고형암 환자 모두에서 항암치료 후 골밀도가 감소했음을 확인했다. 또 혈액암 환자에서는 치료 초반인 6개월 이내, 고형암 환자에서는 6~12개월 사이의 골밀도가 더 큰 폭으로 감소해 항암치료 뒤 기간에 따라 암 유형별로 골밀도 감소 경향이 다르다는 사실도 확인됐다.
연구팀은 이 같은 차이에 대해 "혈액암의 경우 항암치료 초기에 스테로이드 치료를 시행하고 고형암의 경우 항암치료 6~12개월 사이에 조혈모세포이식을 받으면서 급격히 골밀도를 감소시킨다"고 설명했다.
소아청소년암은 18세 미만의 환자에게 생기는 암으로, 성인에 비해 발생빈도가 낮아 전체 암의 약 1%를 차지하지만 소아청소년 질병 사망의 가장 흔한 원인이 되는 질환이다. 우리나라에서는 연간 약 1300명이 소아청소년암으로 진단을 받는데 조기발견과 적극적인 치료 덕분에 최근에는 완치율이 80%에 이르고 있다.
최형수 교수는 "소아청소년암 환자의 완치와 장기 생존이 증가함에 따라 관련 합병증이나 만성질환이 나타날 수 있는데 특히 골밀도 감소가 중요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며 "성장기의 뼈 건강은 평생 건강을 좌우할 수 있으므로 골밀도 감소에 대한 예방과 조기진단, 치료방법에 대한 인식 제고가 중요하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