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상장제약사들이 평균적으로 573억원의 매출채권을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채권을 회수하지 못할 경우에 대비한 대손충당금은 겨우 25분의1 수준인 23억원만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보건의료 분석평가 전문사이트 팜스코어는 지난 23일 70개 상장제약사들의 올해 1분기 전체 매출채권 총액은 전년 동기(3조5446억원) 대비 13.1% 증가한 4조85억원이며 전체 대손충당금 총액은 전년 동기(1260억원) 대비 25.0% 증가한 1576억원이라고 밝혔다.


1분기 대손충당금 설정률은 전체 매출채권 총액의 3.9% 수준으로 전년 동기(3.6%) 대비 0.3%p 증가했다.

/사진=이미지투데이

매출액 대비 매출채권 총액 비율이 가장 높은 회사는 셀트리온이다. 셀트리온의 1분기 매출액은 909억원, 매출채권 총액은 6168억원으로 매출채권 총액 비율이 678.4%를 기록했다.

이어 ▲진양제약(450.8%) ▲테라젠이텍스(269.8%) ▲고려제약(260.8%) ▲JW중외제약(249.8%) ▲제넥신(237.0%) ▲명문제약(223.8%) ▲슈넬생명과학(218.9%) ▲CMG제약(203.9%) ▲일양악품(193.4%) 순으로 매출액 대비 매출채권 총액 비율이 높았다.


매출채권 총액 대비 대손충당금 비율이 가장 높은 회사는 파미셀이다. 파미셀은 1분기 매출채권 총액(104억원)의 46.8%인 49억원을 대손충당금으로 확보했다.

이어 ▲대화제약(26.1%) ▲진양제약(25.7%) ▲제넥신(25.6%) ▲CMG제약(24.4%) ▲경동제약(20.2%) ▲경남제약(19.0%) ▲우리들제약(16.3%) ▲대한뉴팜(13.6%) ▲씨트리(13.0%) 순으로 매출채권 총액 대비 대손충당금 설정률이 높았다.

이설현 팜스코어 연구원은 “대손충당금 설정액이 전년 동기 대비 증가했다는 것은 매출채권 대금 회수의 장기화로 인해 연체된 채권이나 손상채권 규모가 확대됐다는 것으로 볼 수 있다”며 “특히 회수 불가능한 매출채권이 증가하면 기업이 유동자산이 줄거나 그에 따른 대손상각비가 발생해 영업실적이 감소 할 가능성이 높아진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