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제약협회. /자료사진=머니투데이DB
정부가 차세대 먹거리로 지목한 제약·바이오 업종이 우호적인 시장 분위기 속에 올해 신규 상장 수가 사상 최대치를 기록할 전망이다.
제약·바이오 기업들은 투자자들의 관심이 높아진 가운데 상장을 통해 연구개발(R&D), 설비투자 등 재도약을 위한 실탄 마련으로 풀이된다.

22일 제약 및 증권업계에 따르면 지난 2월 상장한 큐리언트와 안트로젠, 3월 팬젠, 이달 23일 증시에 입성하는 녹십자랩셀과 에스티팜 등 5개사는 공모로만 총 2490억원을 조달했다.


이 중 에스티팜의 공모규모는 1352억원으로 상반기 상장 기업 중 최고 수준이다. 일반 투자자들의 관심을 반영하는 공모주 청약 증거금도 3조2034억원이나 몰렸다.

업계는 제약·바이오에 대한 우호적인 시장 분위기가 형성되면서 특히 R&D와 설비투자 자금이 필요한 업체들이 기업공개에 나섰다고 해석했다.

일각에서는 올해 관련 기업의 기업공개(IPO) 규모가 사상 최대를 기록할 전망이라는 분석도 내놨다. 보통 IPO는 하반기 및 연말에 급증하는 데다 이미 일부 기업의 상장이 가시화됐기 때문이다.


이승호 NH투자증권 애널리스트는 "올해는 제약·바이오 업종의 역대 최대의 신규 상장이 예상된다"며 "하반기에는 삼성바이오로직스, 셀트리온헬스케어, CJ헬스케어 등 예상 시가총액이 1조원 이상 기업의 IPO가 진행될 예정"이라고 전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