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국내에서 운영되고 있는 원전은 모두 25기지만 대부분 영남지역에 밀집돼 있고 앞으로도 더 늘어날 예정이다. 건설 예정인 신고리 5·6호기(울산, 2021~2022년), 신한울 3·4호기(울진, 2022~2023년), 천지 1·2호기(영덕, 2026~2027년) 등이 완공되면 국내 원전은 30기가 넘는다.
이런 가운데 야당 의원 30여명이 참여하는 ‘탈핵·에너지전환 국회의원모임'(이하 탈핵모임)은 지난 20일 국회 정론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우리나라는 지진으로부터 더이상 안전한 나라가 아니기 때문에 신고리 원전 5·6호기 건설은 즉각 승인 취소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탈핵모임 회원들이 지난 20일 국회 정론관에서 신고리 원전 5·6호기 건설 승인 취소 촉구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사진=뉴스1
이날 탈핵모임이 공개한 시뮬레이션 결과에 따르면 신고리 원전 3∼6호기 중 한곳에서라도 중대한 사고가 일어나면 일주일 내에 주변 반경 80㎞에 사는 주민 1만6240명이 사망하고, 50년간 누적 암 사망자수가 280만명에 이르게 된다.
이에 따라 탈핵모임 측은 “신고리 원전 5·6호기 건설 당시 실시된 방사선환경영향평가에서 원전의 중대 사고는 고려되지도 않았다”며 “이는 영남지방 주민의 생사뿐 아니라 전체 국민의 건강과 국가 존립을 위태롭게 할 최악의 결정”이라고 비판했다.
유승민 새누리당 의원도 최근 한 방송과의 인터뷰에서 “지금 가동중인 원전 중 18기가 전부 동해안에 밀집돼 있다”며 “최근 허가를 받은 신고리 5·6호기와 앞으로 계획 중인 6기 등 8기는 전면 재검토를 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신규 원전 대부분이 이번에 지진이 발생한 영남권에 몰려있는 만큼 해당지역 시민사회의 반발도 거세다.
같은 날 탈핵경남시민행동, 김해·양산환경운동연합 등 지역 시민사회단체들은 정부의 원전 정책을 규탄하는 집회를 열었다.
하지만 정부와 한국수력원자력 측은 아직까지 큰 문제가 없는 만큼 앞으로 원전 핵심설비 내진 대책을 강화하면서 원전을 계속 신설 및 운영하겠다는 입장이다.
산업통상자원부 관계자는 “에너지 안보와 에너지 수급 여건을 고려하면 적정 수준의 원전 비중 유지는 불가피하다”며 “국민의 우려가 있는 만큼 국민 눈높이에 맞춰 안전을 최우선으로 원전을 건설 및 운영하겠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